20代 SNS형, 30~40代 지인들과 관계 단절형, 50~60代 평소와 다른 호의 베풀기형…세대별 다른 자살 징후

[헤럴드경제=허연회 기자]스스로 목숨을 끊으려는 시도를 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결국 자살할 확률이 일반인에 비해 무려 25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자살을 시도해 응급실을 찾은 8848명 가운데 2012년 말 기준으로 추가 자살 시도를 통해 실제 자살한 사람은 236명으로, 연간 10만명 당 약 700명 가량이 자살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일반 인구의 자살사망률인 10만명 당 28.1명에 비해 무려 25배 가까이 높다.

전문가들은 “한 번 자살을 시도한 사람의 자살 위험이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들 가운데 남성 자살 사망자의 절반이 자살 시도 7개월 이내에 자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0대 이후 자살 시도자의 자살률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대체 왜 극단적 선택을 할까=자살 시도의 주된 원인으로 꼽히는 것은 우울증 등 정신과적 증상과 함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꼽혔다.

보건복지부는 자살사망자 통계와 자살시도자에 대한 면접 조사, 자살 사망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 대국민 자살인식조사 등을 토대로 한 대규모 자살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자살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실시했다.

지난해 대형병원 응급실을 찾은 자살 시도자 135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한 결과, 이들 가운데 37.9%는 자살 시도의 이유로 ‘우울감 등 정신과적 증상’을 꼽았다.

이어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가 31.2%를 차지했으며, ‘경제적 문제’(10.1%), ‘고독’(7.1%), ‘신체 질병’(5.7%)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자살 시도자의 남성 50%, 여성 40%가 자살을 시도할 당시 음주 상태였다고 복지부는 전했다.

이와 함께 자살 사망자 8000여 명의 통계를 분석한 결과, 자살 직전 남녀 모두 정신과적 질환으로 인한 의료 이용이 이전보다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소화기계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도 47% 늘어난 점이 눈에 띄었다. 또 수면제와 항정신병약물 복용도 크게 늘어났다.


▶자살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자살에 이르는 유형은=정부의 실태 조사에는 모두 72건의 자살 사망 사례에 대해 유가족의 심층 면담과 유서 분석 등을 통한 ‘심리적 부검’까지 포함돼 있다.

이 심리적 부검을 통해 본 자살 유형은 급성 스트레스 유형을 비롯해 만성 스트레스 유형, 적극적 자해ㆍ자살시도 표현 유형, 정신과적 문제 유형 등 크게 4가지로 분류됐다.

▶이런 모습 보인다면…자살 징후=자살을 앞둔 이들이 보이는 연령대별 징후는 뭘까.

보건복지부의 분석에 따르면 20대 이하의 경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자살 관련 문구나 사진을 올리는 모습을 보였다.

컴퓨터 하드 디스크나 휴대전화를 포맷하거나 평소와 달리 수면량이 증가하고 평소하지 않던 말들을 자주하는 모습도 보였다.

30∼40대는 음주가 심해지며 점차 관계 단절의 양상을 내비쳤다. 초기에는 가족과의 단절을 보이다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도 끊어 버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또 이런 모습이 극단적으로 나타나 부부 싸움 등 가정 문제로 비화되기도 했다. 50∼60대의 경우 자식들에게 ‘어머니/아버지를 잘 모시라’는 당부의 말을 자주 하기도 했지만, 완전히 주변사람들에게 연락을 끊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또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지거나 평소와 달리 주변 사람들에게 연락을 취해 호의를 베푸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okidoki@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