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찰로봇ㆍ지능형 발찌…인공지능 ‘범죄와의 전쟁’서도 주역될까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 지난 2014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벤처업체 나이트스코프가 ‘K5’라는 이름의 순찰로봇을 개발해 화제를 모았다. 영화 스타워즈에 등장하는 R2-D2를 연상시키는 이 로봇은 적외선 센서, 차량 번호판 인식 카메라와 같은 첨단장비를 내장하고 있어 실시간으로 중앙 관제실에 영상을 전송한다. 별도의 무장은 없지만 수상한 인물을 발견하면 경보음을 울리는 등 범죄 억제력도 갖췄다.

#. 최근 일본의 경비보안업체 종합경비보장(ALSOK)사는 NEC와 손잡고 도둑이나 테러 연관 행위를 보이는 인물을 포착해내는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 AI는 ALSOK의 영상분석 기술을 통해 수상한 사람이나 술 취한 사람이 보이는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상 조짐이 있을 경우 주변에 있는 경비원에게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NEC는 수상한 사람의 움직임을 구분할 수 있는 빅데이터 알고리즘을 AI에 입력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한 벤처업체가 개발한 순찰 로봇 ‘나이트스코프 K5’의 모습.
범죄 수사와 증거 수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드론.

이세돌 9단이 인공지능 알파고와의 ‘세기의 대결’에서 잇따라 패배하며 전세계가 충격에 빠진 가운데 인공지능 기술이 어디까지 활용될 수 있을 지 다양한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미제사건 등 각종 범죄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수사당국의 경우 부족한 인력을 보완할 수 있는 대체수단으로 인공지능의 역할을 주목하는 상황이다.

11일 형사정책연구원의 ‘지능형 로봇기술과 형사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형사정책 단계별로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이 매우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선 범죄예방 단계에서는 무인자동차와 무인항공기의 활약이 기대된다. 특히 드론의 경우 교통체증에서 자유롭고 신속 출동이 가능해 활용도가 높을 전망이다. 순찰로봇 투입이 본격화하면 기존 인력을 적재적소에 재배치해 업무 효율성의 제고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범죄수사 단계에서는 증거 수집과 현행범 추적 등에서 인공지능이 종횡무진 현장을 누빌 전망이다. 종래에는 망원경이나 육안, CCTV 등으로 용의자나 현장을 감시했지만 이제는 드론이 첨병으로 나서 범인 발견이나 증거 확보에 앞장서게 된다.

여기에 범인의 사후행동이나 도주방향을 계산하는 수사지원 로봇이나, 피의자 신문 과정에서 모순되거나 비논리적인 부분만을 잡아내는 신문보조 로봇의 등장도 머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교도소에서도 일반적인 수형자 관리뿐만 아니라 외국어 동시통역 기능을 갖춘 로봇이 등장해 외국인 교정ㆍ교화에서도 상당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하고 있다.

보호관찰 단계의 경우 다른 어떤 분야보다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의 활용도가 높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 법무부는 착용자의 맥박, 피부온도, 범죄수법과 이동패턴을 빅데이터화해서 범죄 징후를 파악하고 미리 대응할 수 있는 ‘지능형 전자발찌’ 개발을 진행중에 있다. 2017년 말에는 도입이 가능할 전망이다.

하지만 형사정책 단계에서 실제로 인공지능이 활용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윤지영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능형 로봇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불특정 다수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있는 부분”이라며 “정보 수집을 위한 법적근거를 마련하되 이미 수집된 정보를 사후적으로 취급ㆍ관리하는 영역에서도 정보보보 원칙을 철저히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bigroot@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