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최대 지진] [단독] 경주 방폐장ㆍ원전 인근 4년새 알려지지 않은 지진 310회

 -한국지구물리ㆍ물리탐사학회지, 논문 ‘경주지역 미소지진(소규모) 진원 위치’ 수록

-부산대 김광희 교수 “소규모 지진 많다는 건 대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 크다는 의미”


[헤럴드경제=김진원 기자] 기상청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큰 규모의 5.8 지진이 12일 오후 8시32분 경북 경주시 인근에서 발생한 가운데 방사능폐기물 처분시설, 5기의 원자력발전소가 밀집한 이곳에서 최근 4년간 총 310회의 지진기록이 있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지진의 횟수와 규모는 비례관계로 문헌 기록상 한반도에 규모 6.7의 지진까지 발생한 바 있는 만큼 안심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한국지구물리ㆍ물리탐사학회 계간지 ‘지구물리와 물리탐사’에 최근 발표된 ‘최근 경주지역 미소지진 진원 위치’ 논문에 따르면 경주시 주변 약 20㎞ x 30㎞ 지역(경주 미소지진 다발지역) 내에서 2010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310개의 미소지진(규모 2.0이하)이 식별됐다.

[사진= 경주에 기상청 관측 이래 가장 큰 규모 5.8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경주지역에 알려지지 않은 소규모 지진이 310회 있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연구팀은 소규모 지진의 잦은 발생은 대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고 했다. 사진=논문 ‘최근 경주지역 미소지진 진원 위치']

채석장 발파와 같은 인공 지진을 제외한 결과로 규모가 작아 기상청에서 발표하지 않는 지진들이다. 규모 3.5 이상 지진의 발생 위치는 미소지진 위치와 상당 부분 일치했으며 이 가운데에는 기상청에서 발생 사실을 발표한 지진 21개도 포합됐다.

연구팀은 “경주에는 5기의 원전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이 위치해 있어 각계의 비상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지역”이라며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역사지진 자료에 의하면, 경주지역에서 규모 6 이상의 지진도 10회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했다. 

[사진= 경주에 기상청 관측 이래 가장 큰 규모 5.8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경주지역에 알려지지 않은 소규모 지진이 310회 있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연구팀은 소규모 지진의 잦은 발생은 대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고 했다.    사진=기상청, 12일 발생한 규모 5.8 지진 위치도]

지진파형 분석과 P파ㆍS파 도착시간 측정 등을 통해 연구팀이 310개 지진을 분석한 결과, 지표로부터 깊이 14㎞ 부근에서 가장 많은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이 발표한 21개 지진의 진원요소와 비교해보면, 진앙 위치는 평균 약 2.0㎞, 진원 시간은 약 0.45초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기상청 발표보다 더 동쪽의 좁은 공간에 몰려 있었다. 연구팀은 이 지역에서 활성단층으로 의심되는 곳이 여럿 확인됐으며 하나로 연결된 단층을 형성하면 그 길이는 최소 20㎞가 된다고 결론지었다.

논문 저자 중 한 명인 김광희 부산대 지구물리학 교수는 12일 헤럴드경제와의 전화통화에서 “경주 지역에 미소지진이 이렇게 많다는 건 대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문헌 기록상 779년 경주에서 규모 6.7의 지진도 발생한 바 있다”고 했다.

이어 “지진의 발생 횟수와 지진의 규모는 비례관계로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 규모 5의 지진이 1번 발생했다면 규모 4는 10번, 규모 3은 100번 발생한다는 지진학계의 횟수와 규모의 아주 오래된 이야기다”고 했다.

김 교수는 “그동안 한반도를 지진 안전지대로 알고 오랫동안 지진 걱정을 안했으나, 이번 지진을 통해 보듯 앞으로 얼마나 큰 지진이 날지 아무도 예상 못하는 만큼 경주 미소지진 다발지역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jin1@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