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 대부분의 공공기관은 채용 시 나이ㆍ성별ㆍ학벌 등 차별 요소를 담지 않은 표준이력서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구직자 가족의 학력과 직업을 묻는 곳도 있었다.

표준이력서는 고용노동부가 2007년부터 만들어 권장하고 있지만, 정작 공공기관마저 이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정미 정의당 의원에 따르면, 올해 8~9월 홈페이지에 채용이력서를 공개한 공공기관 73곳 중 표준이력서를 준수하고 있는 기관은 한국관광공사 1곳뿐이었다.

표준이력서는 고용노동부가 2007년부터 만들어 권장하고 있지만, 정작 공공기관마저 이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72곳의 기관은 이력서에 연령 표시를 요구했고, 54곳은 사진 제시를 요구했다. 또 55곳은 출신 대학을 기재하도록 했고, 39곳은 성별을 적도록 했다.
심지어 한국산업단지공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보통신산업직흥원 등 6곳은 지원자 가족의 학력과 직업을 물었으며, 교통안전공사,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6곳은 지원자의 본적이나 출신 지역까지 물었다. 독립기념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 4곳은 혼인 여부를 물었다.
이 의원은 정부가 표준이력서 확산에 더욱 노력할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