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페트병 대체 가능한 바이오플라스틱 개발

-기체 차단성과 내열성이 좋아 기존 페트 소재가 사용되지 못했던 분야까지 적용 가능

[헤럴드경제(대전)=이권형 기자] KAIST(총장 강성모) 생명화학공학과 박오옥 교수 연구팀과 롯데케미칼(대표이사 허수영)이 산학협력 연구를 통해 기존의 플라스틱 페트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식물 기반의 바이오 플라스틱을 수지를 개발했다.

퓨란계(furan) 바이오플라스틱은 식물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플라스틱이다. 식물을 소재로 하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고, 석유 기반의 플라스틱을 대체하기 때문에 자원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체 차단성과 내열성이 좋아 기존 페트 소재가 사용되지 못했던 좀 더 넓은 분야에 사용 가능하다.


많은 연구자들이 퓨란계 바이오플라스틱이 가진 장점을 활용키 위해 상용화가 가능하도록 연구 중이나 퓨란계 바이오플라스틱은 분자 구조가 유연하지 않아 깨지기 쉽고 결정화 속도가 느리다. 즉 분자의 확산성이 낮고 고분자량화에 한계가 있어 원하는 모양을 얻기가 어렵다. 무엇보다도 결정화 속도가 느리다는 것은 기존의 상업 설비에서 양산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문제 해결을 위해 육각환형의 고리 화합물을 공 단량체로 도입해 새로운 퓨란계 폴리에스터를 합성했다. 이 과정을 통해 유연성이 높아져 기계적 물성(연성, 내충격성)이 개선됐고 결정화 속도도 빨라졌다.

이 새로운 퓨란계 폴리에스터의 결정화 속도 개선으로 인해 고상중합공정이 가능해졌다. 고상중합공정이 중요한 이유는 수지의 변색 없이 분자량을 단시간에 고분자량으로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기술은 병, 옷, 섬유, 필름 등 기존에 페트 소재가 사용되던 분야를 넘어 페트가 쓰이지 못했던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며 기존 페트보다 내열성과 기체 차단성이 높기 때문에 유리 용기를 일정 정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KAIST 홍성민 연구원은 “학술적인 부분 뿐 아니라 상업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기술이다”며 “탄탄한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실제로 우리 산업과 국가 경쟁력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그린 케미스트리(Green chemistry)’ 지난 7일자 뒷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kwonhl@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