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가계부채 현주소②] 유사한 경제구조 한국의 가계부채 대만과 비교해보니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 우리나라와 경제구조가 비슷해 늘 비교 대상이 돼왔던 대만은 가계부채가 대만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

대만은 부존자원이 없고, 적은 인구로 내수시장이 탄탄하지 않아 수출에 의존하는 소규모 개방경제라는 점이 우리나라와 닮아있다. 65세 인구비율이 10.7%로, 우리나라(11.1%)처럼 노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2001년 이후 부동산 가격은 2.8배 올랐고,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85% 전후(한국 87%)를 차지하는 점도 닮은꼴이다. 저금리 영향으로 빚을 낸 가계가 부동산 가격을 들어 올린 우리나라 상황과 수치상 거의 비슷한 것이다.

하지만 대만은 가계부채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긋한 모습이다. 대만의 가계부채가 GDP 대비 85%의 높은 수준으로 올라선 것은 2000년 이후 16년이 넘었다. 대만은 10여 년 동안 부채 부담에도 주택시장이 꾸준히 상승세를 보였고, 이에 따라 가계부채도 디레버리징(부채 정리) 수순을 밟지 않았다.

이처럼 대만이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를 버틸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가계가 현금흐름 창출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김동원 SK증권 연구위원은 “대만은 가계 자산의 절반 이상인 금융자산을 연금ㆍ보험ㆍ해외 등에 투자해 배당ㆍ이자소득을 늘리고 노후 연금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었다”며 “덕분에 부동산 가격이 올라도 꾸준히 주택 투자를 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노후 연금소득이나 금융자산이 충분해 자금이 지속적으로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어 높은 가계부채와 부동산 가격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가계 자산이 부동산에 치우쳐 있다 보니 부동산 가격 변동이 가계부채나 소비심리 등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대만 가계의 금융자산은 전체 가계 자산의 55.5%(2013년 기준)다. 34.1%에 불과한 우리나라보다 21.4%포인트나 높은 수준이다. GDP 대비 가계 금융자산도 464.4%로, 우리나라(195.5%)보다 2배 이상 많다.

반면 부동산 자산은 우리나라가 대만보다 훨씬 그 비중이 높다. 한국인 가계의 자산 포트폴리오 중 36.5%가 부동산이지만, 대만 가계는 20% 내외에 불과하다.

이처럼 대만의 가계 자산 내 금융자산 비중이 높은 것은 2000년 이후 본격화된 해외 투자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대만도 2000년 이후 우리처럼 저금리 기조의 심화와 본격적인 노령화 사회 진입으로 시중 자금이 갈 곳을 잃었다. 이에 대안으로 선택한 것이 바로 해외 투자다. 해외투자로 배당과 이자를 꾸준히 받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든 것이다. 실제로 대만의 소득수지(2015년 기준)는 경상수지 흑자의 22%나 된다. 경상수지의 대부분이 무역을 통한 상품수지인 우리나라와 대조적인 모습이다.

손정락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국내 가계의 노후 소득이나 금융자산이 부족하다는 사실은 국내 가계부채 문제에 시간 한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자산의 70%가량을 부동산으로 보유하는 가계들이 은퇴시기에 접어들게 되면 가계부채 타이머가 빨간불로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carrier@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