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근현대사 인권현장 38곳에 황동 표지석 세운다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4ㆍ19혁명의 도화선이 된 ‘4ㆍ18 선언’이 있었던 서울 안암동 현장과 6ㆍ25전쟁 당시 교량폭파로 수많은 인명이 희생당한 ‘한강 인도교 폭파 현장’ 등에 표지석이 세워졌다

서울시는 근현대 흐름 속에서 벌어졌던 인권탄압과 이에 맞서 저항했던 인권수호의 생생한 역사를 품고 있는 38곳에 ‘서울시 인권현장 표지석’을 설치했다고 17일 밝혔다.

서울시는 38개 인권현장을 비롯해 서울 곳곳의 인권현장을 시민들이 직접 탐방하고 인권의 가치를 되새겨볼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을 곁들인 7개 도보 탐방코스도 개발했다. 내년부터 해설사와 함께하는 ‘인권현장 탐방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38개 표지석은 현장의 특성에 따라 시민저항(23개소), 국가폭력(8개소), 제도 내 폭력(7개소) 등 3개 테마로 분류하고 원형(시민저항), 삼각형(국가폭력), 사각형(제도 내 폭력)으로 디자인을 달리했다.

서울시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은 서울시 인권 로고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도형이자 사물을 이루는 기본 도형으로, 보편성과 다양성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인권’과 일맥상통한다”고 설명했다. 국가폭력에 대해 적용한 삼각형 디자인은 저항의 의미를 담아 표지석을 ‘역삼각형’ 모양으로 디자인했다고 덧붙였다.

각 표지석은 황동 플레이트 위에 서울시 인권 로고, 현장 명칭과 현장을 소개하는 한 두 줄의 짧은 문구를 국문과 영문으로 표기했다. 시민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인권현장 인근 공공보도 위에 보도블럭(가로x세로 35cm) 모듈로 설치했다.

표지석을 설치한 인권현장 선정은 우선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던 1894년부터 2000년 사이 인권사의 역사적 현장을 시민, 전문가, 종교계 등에서 110여 곳 추천받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후 전문가 자문회의에서 표지석 설치 대상지를 최종 결정했고, 이 과정에서 지난 9월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의견을 수렴하는 과정도 거쳤다.

아울러 7개의 인권현장 도보 탐방 코스는 민주화(4월길, 6월길), 노동(구로길, 전태일길), 사회연대(여성길, 시민길), 남산(자유길) 4개 테마로 분류된다. 각 코스마다 1시간~2시간 정도 소요되는 길이로, 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역사적 현장을 직접 밟아보는 특별한 체험을 할 수 있다.

한편 서울시는 서울시청 신관 왼편 보도에 ‘인권도시 서울’을 형상화 한 인권서울기억지도 조형물을 지난 9일 설치했다. 인권현장 표지석이 설치됐거나 설치 예정인 각 장소의 표지석을 본 따 서울의 지도 모양으로 배치한 형태다.

mkkang@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