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원화가치 상승률 최고…미국 금리인상 후에도 지속될듯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들어 두번째로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달러 약세-원화 강세’ 기조는 유지될 전망이다.

금리 인상에도 연준의 조치가 시장의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아 달러가 ‘강(强)달러’로 갑자기 전환될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금의 급격한 유출보다는 유입 가능성에 오히려 무게가 실리는 모양새다.

16일(한국시간)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14일까지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말보다 6.9% 떨어져 주요국 통화 중 하락 폭이 가장 컸다.

같은 기간에 대만 대만달러가 6.5% 내린 것을 비롯해 일본 엔 6.3%, 태국 바트 5.3%, 인도 루피 5.3%, 말레이시아 링깃 5.1%, 호주 호주달러 4.9%, 싱가포르 싱가포르달러가 4.7% 각각 하락했다.또 중국 위안이 2.2%, 인도네시아 루피아 1.2%, 필리핀 페소는 0.2% 각각 내렸다.반면 유로화가 6.7% 상승했고 브라질 레알 1.9%, 홍콩 홍콩달러 0.6%, 베트남 동은 0.5% 각각 올랐다. 올해 들어 이같이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크게 상승한 것은 당초 예상과 달리 달러 약세가 지속적으로 유지됐기 때문이다.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기 전까지만 해도 취임 이후 강달러를 전망하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정작 취임 전후로 달러는 약세를 보였다.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 불균형을 거론하며 달러 강세에 우려를 나타냈기 때문이다.지난 3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올해 첫 기준금리 인상이 단행됐지만 달러 약세 추세를 꺾지 못했다.

오히려 트럼프 대통령의 재정확대 정책 등을 둘러싼 정치 불확실성이 고조되며 달러 약세는 더욱 심화됐다.그러나 이번에 연준이 올해 들어 두번째로 금리인상을 단행했고 9월 세번째 금리인상과 12월 자산축소 조치 우려가 커지며 강달러로 전환될 수 있다는 전망이 일각에서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하지만 미국의 정치·경제적 환경은 달러 약세 흐름 유지에 조금 더 무게를 싣는 모습이다.6월 FOMC 회의 결과가 시장에 큰 충격을 주지 않아 지금의 달러 방향성을 바꿀 수준이 아니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또 트럼프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정치적 불안감도 달러 가치의 약세 압력에 힘을 보태는 요인으로 꼽힌다.달러가 약세 흐름을 지속할 경우 원화 역시 달러화 대비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6월 FOMC 결과가 시장에 별 영향을 주지 못했던 만큼 원/달러 환율은 하락 압력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도 “원화 가치 역시 달러 약세 기조를 바탕으로 추가 강세가 예상되며 이는 주식시장 중심으로 외국인 자금의 추가 유입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연합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