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 8000명 고용 창출 효과 기대
SK그룹이 향후 3년간 80조원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2만800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딥 체인지’ 가속화에 나선다.
최태원 SK 회장은 이같은 발표를 통해 투자ㆍ고용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해 온 정부에 통 큰 화답을 하는 동시에, 그룹으로서도 중단기 투자계획을 공식화하며 핵심 신사업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하는 동력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 |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SK 본사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최태원 SK 회장(오른쪽)이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지켜보는 가운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최태원 회장이 전날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간담회에서 밝힌 투자금 80조원 중 27조5000억원이 올해 투자 계획으로 분류됐다. 이는 지난해 투자금액 17조원보다 44%나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다. 이는 또 지난해 거둬들인 순이익의 2배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부적으로는 반도체ㆍ소재 부문에 49조원, 에너지 신산업에 13조원, 차세대 ICT 기술에 11조원, 미래 모빌리티 부문에 5조원, 헬스케어 부문에 2조원 등 5대 신산업분야를 중심으로 80조원이 배분될 예정이다.
반도체 기술ㆍ설비투자, 반도체 핵심소재, 5G 인프라, ICT 비즈니스 생태계, 친환경ㆍ신재생 발전, 지능형 전력시스템, 자율주행차, 커넥티드 카, 전기차 배터리, 합성신약, 백신, 전문의약품 등이 주요 투자 분야가 될 전망이다.
신규 채용도 3년간 2만8000명, 연평균 9000명 이상으로 예년 채용수준보다 10% 가량 늘어난다. 2018년도에는 8500명을 신규 채용하고 5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구체적인 내용도 나왔다.
SK는 또 협력사와 사회적 기업 지원을 확대하고 창업ㆍ벤처 기업을 위한 생태계도 지원하기로 했다. 내년에 동반성장펀드에 800억원을 추가 투입해 그 규모를 6200억원으로 확대하고, 올해 6월에 협력사 교육 등을 위한 동반성장센터를 설립한다.
또 ‘청년비상’ 등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5Gㆍ사물인터넷을 활용한 ICT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도 추진한다. 사회적기업 제품을 우선 구매하며 민간 최초로 110억원 규모의 사회적 기업전용 펀드도 조성할 계획이다.
최 회장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통해 국민경제 선순환에 기여하는 것은 기업 본연의 역할”이라며 “SK그룹은 계열사 일자리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업 창업생태계를 구축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또 “이같은 시도는 아직 걸음마 단계라 생각보다 속도가 나지 않고 있지만, 지속적 지원을 통해 조만간 걷고 뛸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세진 기자/[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