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블록체인 인력양성과 산업생태계 구축 시급”

- KAIST ‘블록체인 정책토론회’ 개최
- 자율적 기술발전 및 시장활성화 방안 마련돼야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4차산업혁명 시대 핵심기반 기술로 꼽히는 블록체인 기술의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보다는 전문인력 양성과 함께 국가차원의 산업생태계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지난 18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주최한 ‘블록체인 육성을 위한 정책토론회’에 참가한 국내 각계 블록체인 전문가들은 기술 패러다임과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국가적 전략이 마련이 시급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블록체인 기술과 인재양성’이란 주제발표에 나선 김용대 KAIST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에 적용된 사례와 현재 활용 동향에 관해 소개하고 향후 필요한 기술개발과 인재양성 방안을 제시했다. 

KAIST 주최로 열린 ‘블록체인 육성을 위한 정책토론회’ 참가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제공=KAIST]

김 교수는 “작년 5월 블록체인OS가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가상화폐공개(ICO)에 나서 단 9분 만에 157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면서 “ICO는 간단한 절차만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활용도가 급증하는 추세지만 우리 정부는 증권 발행 형식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ICO를 금지한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보안성 강화, 합의 알고리즘, 안전한 지분증명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블록체인 설계를 위한 원천 기술 연구와 이를 활용하는 응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이 때문에 국내서도 블록체인 보안, 분산 시스템 등 전문 분야의 고급 기술 인재 양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체계적인 석ㆍ박사급을 비롯한 전문 인력 양성과 공급이 블록체인 시장의 수요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창업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

오세현 SK텔레콤 블록체인사업개발 유닛 전무는 블록체인은 위ㆍ변조를 할수 없고 악의적 공격이나 장애로부터 안전하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에서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 전무에 따르면 블록체인은 정보의 거래 및 공유 구조도 단순화돼 업무의 적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블록체인의 핵심 기술인 인증, 지급결제, 전자문서·전자서명, 트래킹 개발은 제조, 금융, 물류 유통, 콘텐츠, 공공 분야 등의 산업 영역에서 다양한 강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오 전무는 “블록체인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규제가 아닌 국가 차원의 지원 정책이 필요하며, 예를 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계약서와 전자서명과 같은 전자 기록물의 법적 효력이 보장돼야 한다”며 “일괄적인 참여 제한과 정부 주도의 산업 육성이 아닌 자율적인 기술 발전과 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nbgkoo@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