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삶의질, 경제성장 속도 따라가지 못해…가족·공동체는 오히..

한국인 삶의 질

지난 10년 동안 1인당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30% 증가했지만, 가족이나 공동체와 관련된 삶의 질은 오히려 퇴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안전과 교육, 소득·소비, 사회복지 등은 큰폭으로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삶의질학회가 통계청 제공 자료를 토대로 삶의 질 변화를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2006년=100을 기준으로 가족·공동체 분야 종합지수는 2016년 97.8로 10년 전보다 악화했다. 분석 대상 12개 분야 중 100 미만으로 떨어진 분야는 가족·공동체가 유일했다.

가족·공동체 분야의 삶의 질은 가족관계 만족도, 가족 형태, 사회적 관계, 지역사회나 사회단체 참여율 등을 고려해 평가됐다.

가족관계 만족도, 지역사회 소속감, 사회단체 참여율이 높거나 사회적 관계망이 든든하면 지수가 높아지는 반면 한부모 가구와 혼자 사는 노인 비율, 자살률 등이 오르면 지수가 하락한다. 지난 10년 동안 공동체 붕괴가 심화되면서 지수가 하락한 것이다.

10년 사이에 삶의 질이 가장 크게 개선된 분야는 ‘안전’ 분야로 2016년 지수가 128.9를 기록했다. 범죄·사고 발생률이 줄고 사회 안전에 대한 평가 등이 상승한 결과로 풀이된다. 또 교육(120.6), 소득·소비(118.1), 사회복지(116.5) 등도 많이 개선됐다.이에 비해 주거(103.7), 고용·임금(104.5), 건강(105.8) 등은 지난 10년 동안 삶의 질이 나아졌지만 개선 폭은 크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삶의 질 개선 속도는 경제성장 속도에 뒤졌다. 2006년 수치를 100이라고 할 때 1인당 실질 GDP는 2016년에 130을 기록했으나 안전을 포함해 12가지 전분야의 지수가 이를 하회한 것이다. 성장 못지않게 삶의 질 향상이 긴급한 과제인 셈이다.
이해준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