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북미정상회담 조기개최에 총력…종전선언ㆍ제재유예 여전히 ‘오리무중’

-“北 내부서도 ‘핵포기’ 되돌릴 수 없을 만큼 공식화”

-트럼프, 2차 북미정상회담 성사 시사

-폼페이오 “완전한 비핵화 전까지는 제재 완화 없어”…상응조치 여전히 과제

[뉴욕(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에서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조기개최를 견인하는 데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문 대통령은 이날 미국 뉴욕 롯데 팰리스 호텔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제3차 남북정상회담 성과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기대를 표명했다.

문 대통령은 “평양에서 돌아오자마자 곧바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논의한 내용을 공유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구축 방안, 그리고 미북 간의 대화와 제2차 미북정상회담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통상 북한과 미국을 ‘북ㆍ미’라고 함축하던 것을 ‘미ㆍ북’이라고 표현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과시 스타일’과 북한을 바라보는 미 조야의 회의적 시각을 고려해 표현 하나하나에 신경을 쓴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김 위원장이 직접 전세계 언론 앞에서 비핵화 의지를 직접 밝히고, 또 내가 15만 명의 평양 시민들 앞에서 김 위원장과 한 비핵화 합의를 다시 한 번 강조한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며 “이제 북한의 핵 포기는 북한 내부에서도 되돌릴 수 없을 만큼 공식화됐다”고 강조했다.

이는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를 의심하는 미 조야의 회의론을 불식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비핵화의 ‘상응조치’를 요구하는 북한의 행보가 단순 비핵화와 관련한 곁가지 조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득을 취하는 ‘살라미 전술’이 아닌, 진정성 있는 호소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연내 종전선언을 설득하기 위해 포석을 깐 것이다.

문 대통령은 재차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변함없는 신뢰와 기대를 거듭 밝히면서 트럼프 대통령만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과 조기에 만나서 비핵화 과정을 조속히 끝내고 싶다는 희망을 밝혔다”며 “미북 정상회담의 조기 개최와 성공을 기원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세 차례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단 긍정적으로 화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일정 및 장소에 대해 “곧 발표될 것”이라며 “우리 둘다(나와 김 위원장) 그것을 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지난달 방북을 취소하면서 밝힌 ‘올바른 여건’이 갖춰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맞물려 미국의 ‘상응조치’를 두고 문 대통령의 중재가 이뤄진 것 아니냐는 기대도 모아지고 있다.

북미 정상회담 성사조건이 마련됐다고 보기도 어려운 측면이 있다. 당장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일정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21일 BBC와 CNN과의 인터뷰, 그리고 23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과 몇 가지 시설을 폐기하는 문제에 대해 협의하고 있으며, 북미정상회담 조기 개최를 위해 조만간 방북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전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비핵화가 이뤄질 때까지 미국의 양보는 없을 것’이라는 기존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이뤄지기 전까지 제재 해소가 이뤄질 수 없다는 건 미국의 입장이 아니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이사국의 공통된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25~26일 이뤄질 유엔 총회 정상급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문 대통령의 발언이 다소 엇갈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 문 대통령은 26일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제재 이행의 필요성을, 문 대통령은 북한의 비핵화 견인차원에서의 포괄적 제재 유예를 언급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지난 22일 기자들을 만나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는 (비핵화 협상과 관련한) 실천적 협력방안이 제시되고 거론되지 않을까 기대한다”며 “미국도 ‘톱다운’의 과감한 조치가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munjae@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