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문 대통령 역할론’…청와대 “북미정상회담, 실질적 성과 위해 최선”

북미 견해차 속 문 대통령 ‘중재자’ 역할 급부상

2차 북미정상회담 실무협상에 한국대표단도 참여

2차 북미정상회담이 2월말로 성사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론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남북정상회담 사진. [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 2차 북미정상회담 시기가 2월말로 확정되면서 청와대 역시 후속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각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중재자’로 또다시 등판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북미정상회담이 시기만 정해졌을뿐, 각론에선 여전히 북미간 줄다리기가 팽팽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점에서 문 대통령이 일정 역할을 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청와대는 2차 북미정상회담 시기가 발표된 직후 “실질적인 성과를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하겠다”고 했다. 정치권에선 큰 틀에서 합의를 마친 2차 회담의 디테일을 채울 스웨덴 스톡홀름 합숙 실무협상에 북미와 함께 한국 대표단도 참석하면서 모종의 ‘메시지’를 전했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21일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합의로 비핵화 문제를 풀어갈 실마리를 찾으면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다시 속도가 붙지 않겠느냐”고 했다.

김의겸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이번 북미정상회담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확고히 다질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정부는 2차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지난해 남북미정상이 합의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토대로 관련국들과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청와대는 북미정상회담 개최 자체가 유동적이었는데 구체적인 시간표가 나온 점을 높이 평가하면서 1차 회담이 상징적 성격이 강했던 데 비해 2차 회담은 구체적ㆍ실질적 회담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청와대는 북한의 비핵화 실행 조치와 미국의 상응 조치에 대한 견해차를 좁히는 중재자 역할에 최대한 공을 들일 전망이다.

북한의 비핵화가 주요 쟁점인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구체적인 결과물을 내놓지 못한다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다시 한번 답보상태에 접어들 수밖에 없다는 우려감도 깔려 있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의 역할론이 새삼 강조되는 것이다. 청와대 다른 관계자는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기 전 어떤 식으로든 문 대통령 역시 트럼프 대통령에게 ‘회담 성공을 위해 모든 역할을 다하겠다’는 말을 할 것”이라고 했다.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북한과 미국이 실무협상을 벌이고 있는 스톡홀름으로 달려간 것도 우리 정부가 협상의 촉진자 역할을 맡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 간의 실무협상에 이 본부장을 비롯한 한국 대표단도 참석, 중재적인 역할에 전력할 것으로 보인다.

2차 북미정상회담 성사가 확정되면서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준비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지만 청와대는 북미회담 이후에 논의를 시작할수 있다고 선을 그은 상태다.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이 먼저 이뤄지면 김 위원장의 답방도 더 순조롭게 이뤄질 것”이라고 한 바 있다. 이에 청와대는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를 측면에서 견인한 뒤 본격적으로 김 위원장 답방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