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용품의 한일간 무역 불균형 20배 격차

 

이미지중앙 대일 무역적자는 지속 증가하다가 2018년 급증했다. 

[헤럴드경제 스포츠팀= 남화영 기자] 골프용품 업계에서 한국-일본간 무역 불균형이 20배의 격차가 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가 발간한 <레저백서 2019>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으로부터의 골프용품 수입액은 2억3,008만 달러에 달한 반면, 골프용품 수출액은 1137만 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일 골프용품의 무역적자액은 지난해 2억1,871만 달러로 2017년보다 19.2% 급증했다.

일본제품 불매 운동이 활발한 가운데 지난해까지 국내 골퍼의 일본 용품 선호로 일본과의 골프용품 무역적자액은 확대되면서 무역수지 불균형이 심각했다. 대일 골프용품의 무역적자액은 2011년 1억9,736만 달러에서 2013년 1억6,911만 달러로 축소되었지만 그후 적자폭이 매년 확대되고 있다. 국내 골프용품 무역수지 적자액에서 차지하는 대일 골프용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61.9%를 차지했다.

이처럼 무역적자액이 늘어난 것은 국내 골프붐으로 인해 해외 골프채 등 골프용품의 수요가 증가한 것이 큰 이유다. 국내용품의 품질과 가격 경쟁력이 약화된 반면, 비싼 외국산 수입이 증가했다. 또한 골프 치는 중상류층이 국산보다 일본산을 선호하는 것도 골프용품의 수입을 부추키는 요인이라고 연구소 측은 분석했다.

이미지중앙

일본에서의 골프용품 수입액을 보면, 골프채가 가장 많다. 지난해 일본으로부터의 골프채 수입액은 2억1009만 달러로 전체 일본 수입의 91.3%를 차지하고 있고 2015년보다는 29.2% 급증했다. 그 다음으로 골프채의 부분품 수입액이 1,466만 달러, 골프공 수입액은 408만 달러 순이었다.

반면 일본으로의 용품 수출액을 보면, 골프채가 431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37.9%를 차지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지난해 골프채의 대일 수출액이 2017년보다 7.7배 급증했다는 점이다.

한편 우리나라 전체의 골프용품 무역수지 적자액은 매년 3억 달러 수준에 달한다. 지난해 골프용품 전체 수입액은 4억582만 달러, 수출액은 5,230만 달러로 무역수지 적자액이 3억 5,352만 달러에 달했다.

골프용품 무역수지 적자액은 골프붐이 일기 시작한 2000년대 초반 이후 꾸준히 증가해왔다. 외환위기 발생 직후인 1998년에는 782만 달러 흑자를 보였으나 1999년에는 4,706만 달러 적자로 전환되었고 2010년 이후에는 매년 3억 달러 수준의 무역적자를 보이고 있다.

서천범 레저연구소장은 “국산채나 볼로 세계대회에서 우승하면 국산 골프용품에 대한 브랜드 가치가 그만큼 높아지고 골퍼들도 구입하게 된다”면서 말했다. “국산공 브랜드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선수들이 사용하는 것은 업체의 지속적인 품질개선과 선수에 대한 지원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골프용품의 대외 무역수지 적자폭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내업계의 꾸준한 품질개선과 마케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일관계 악화를 이용해 단순히 애국마케팅에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미지중앙

<레저백서 2019>에 따르면 골프용품의 무역수지는 2008년 3억2743만 달러 적자에서 10년이 지난 2018년에 3억5352만 달러 적자로 적자폭이 사상 최대 수준으로 확대되었다고 관세청 자료를 통해 밝혔다. 그중 골프채가 전체 적자의 76.1%를 차지하고 있는 곳으로 조사됐다.

국가별 수입액을 비교하면 일본으로부터의 골프채 수입이 2억1009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76.7%를 차지했고, 미국으로부터 수입액이 3,018만 달러, 중국이 2,244만 달러순이었다.

골프공은 태국으로부터의 수입액(국내에서 소비되는 타이틀리스트 볼은 태국 공장에서 만든다)이 3,137만 달러로 전체의 45.2%를 차지했고 그 다음이 중국(1,497만 달러), 대만(924만 달러) 순이었다.

골프채의 부분품이나 액세서리는 중국이 2,092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41.7%를 차지했고 일본이 1,466만 달러, 미국 738만 달러 순서였다. 수출의 경우 일본이 431만 달러로 전체의 91.6%를 차지했고, 골프공은 미국으로의 1,954만 달러로 전체의 61.4%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수입에 비해서는 터무니없이 적은 규모였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