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경, “ ‘구해령’을 시청자들이 공감해준 것 같아 기본 좋다”

[헤럴드경제 = 서병기 선임기자]MBC 수목드라마 ‘신입사관 구해령’은 여성의 주체적인 삶을 그린 사극이다. 신세경(구해령)과 차은우(도원대군)가 최종회에서 달달한 연애는 지속하지만 결혼을 하지 않고 비혼(非婚)으로 끝난 것도 여성의 주도적 삶과 연관돼 있다.

낯선 결말이 된 데 대해 제작진은 “조선시대라 구해령의 결혼이 또 다른 굴레(현모양처로 살아야 하는)의 시작일 수 있겠다 싶어 혼인보다는 여사관(女史官)으로서 직업적 삶을 살아가면서도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하는 엔딩”이라고 설명했다.

드라마가 끝나고 만난 신세경은 얼굴에 웃음이 가득했다. 만족스러운 캐릭터였음을 직감했다.

“조선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여성캐릭터다. 익히 알고있던 것과는 다르다. 여자가 관복을 입고 가는 유쾌한 상상력을 발휘한 거다. 고정관념에 발목을 잡히지 않도록 많은 노력을 했다.”

신세경이 과거 참가했던 사극 ‘육룡이 나르샤’의 분이 캐릭터는 구해령보다 훨씬 무게감이 있고 짙은 색이다. 이에 대해 신세경은 “‘육룡’이 클래식한 사극 느낌이었다면 ‘구해령’은 퓨전사극 느낌이 강했다”고 말했다.

“‘육룡’에서 여말선초 혼란기에 신분이 낮은 여성이 민초 대표가 돼 할 말을 다하고 상황을 주도하는 데 대해 긍적인인 반응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반응도 있었다. 약한 사람을 대변한다는 믿음이 있어서인지, 부정적 반응에 상처받은 부분도 있다. 이번에는 여성을 주체적으로 보여주는 드라마인데, 시청자들이 자연스럽게 봐주실까 하며 조금은 고민했다.”

결과적으로 신세경은 구해령을 시청자들이 공감해준 것 같아 기본이 좋다고 했다. 그는 대본을 보자마자 마음에 들었다. “가령, 일식 문제가 나오자 구해령이 굿을 해서 사라질 게 아니라 자연의 법칙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할 때 카타르시스를 느꼈다. 시대 착오적인 모순에 대한 직격탄이지 않은가. 나도 구해령을 닮고 싶다.”

신세경은 ‘뿌리 깊은 나무’ ‘육룡이 나르샤’ ‘신입사관 구해령’ 등 사극에 자주 출연하고 있다. 여성치고는 목소리 톤이 낮고 차분해 사극에 잘 어울린다. 그럼에도 여배우가 젊은 시절부터 시극을 좋아하는 것도 조금은 이례적이다. 이유가 뭘까?

“어릴 때부터 역사를 좋아했다. 이번에도 기존 사극에서 별 생각 없이 봤던 사관에 대해 유심히 지켜보는 것 자체가 흥미롭다. 사관이 콘크리트처럼 냉정하고, 주관의 개입 없이 팩트만 쓴다는 것도 재미있었다.”

신세경은 상대역인 ‘얼굴천재’ 차은우와, 예문관이라는 직장에서의 멋있는 남자 선배 이지훈(민우원 봉교)과 함께 했다는 사실이 좋았고 무엇보다 예문관 권지(수습사원)들과의 케미가 가장 소중했다고 한다.

“차은우는 잘 모르지만 밝은 사람이라는 것만은 확실하다. 6개월간 지치지 않고 한결 같았다. 좋은 영향을 받었다. 이지훈은 ‘육룡’ 이후 4년만에 만났는데, 훌륭한 연기를 펼쳐주었다. 극중에서처럼 남녀관계가 아니라 좋은 케미를 보여줄 수 있는 선후배관계를 많은 사람들이 원할 것이다.”

신세경은 함께 한 사람도 좋았지만 무엇보다, 억지 갈등이 없어 무해한 드라마, 연기자에게 폭력적 강요가 없고, 마지막까지 그런 기조를 유지한 드라마, 여자 캐릭터들도 라이벌 갈등 관계가 아니고 상황에 맞는 이야기를 그려나간 드라마여서 좋았다고 했다. “드라마틱하지는 않지만 마음이 평안해지는 작품”이라는 것.

신세경은 어릴 때 부터 연기해 모든 배우를 선배님 또는 언니라고 불렀다. 30대가 되면서 현장에서 자신을 언니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아 좋다고 했다. 그는 “그렇다고 달라진 건 없다. 그동안 현대멜로물과 사극을 많이 했지만, 변호사 같은 뚜렷한 직업을 가진 역할도 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신세경은 구독자수가 66만7천명이나 되는 유튜브 강자다. 유튜브 내용은 일상이다. 브이로그형 일기, 강아지 산책, 요리 등이 주 내용이다. 다른 건 자신 없다고 했다. 편집 하고 자막을 다는 것도 본인이 직접 한다.

“사실 제가 20대중반때는 지쳐있고, 불만도 있었는데, 그런 시기가 있어 안정도 있다고 생각한다. 어릴 때부터 일해 고민을 표현하는 게 습관이 안돼 있었지만, 이제는 바로 해결한다. 묵혀둔다고 좋은 게 아니라는 걸 깨달았다. 요즘은 힘들 때는 요리를 하면, 특히 빵을 만들면 잡념이 사라진다.”

서병기 선임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