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아시아국 의존도 줄이려 반도체 자급자족 추진”

<pexels>

미국 정부가 아시아에서 생산되는 첨단 반도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미국 내 생산을 추진한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이 같은 조치의 배경에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을 계기로 첨단산업의 핵심 부품인 반도체의 공급사슬이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자리를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 관리들은 공장을 미국 내에 건립하는 방안을 두고 미국 최대의 반도체 기업인 인텔, 대만 반도체 업체인 TSMC와 협상하고 있다.

인텔의 정책·기술 부문 부회장인 그렉 슬레이터는 “이번 사안에 대해 매우 진지하다”며 미국 정부와 다른 고객들에게 첨단 반도체를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공장을 운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슬레이터 부회장은 “좋은 기회”라며 “상업적으로 볼 때도 과거보다 타이밍이 좋고 수요도 많다”고 덧붙였다. WSJ은 TSMC의 경우 주요 고객인 애플뿐만 아니라 미국 상무부, 국방부와도 반도체 공장을 미국에 짓는 방안을 두고 논의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TSMC는 성명을 통해 “미국을 포함해 적합한 모든 장소를 평가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없다”고 밝혔다.

WSJ은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이미 공장을 두고 있는 한국의 삼성전자가 미국에서 첨단 반도체를 제작할 수 있게 위탁생산(CMO) 시설을 확대하도록 돕는 방안에도 미국 관리들이 관심을 갖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 내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시설)를 짓는 방안은 그간 논의돼오다가 최근 들어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때문에 아시아 공급사슬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점, 미국 국방산업의 첨단 반도체 자급이 어렵다는 점이 안보 우려로 부각되면서 탄력을 받았다.

미국 국방부는 2019년 초소형전자공학(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공급사슬과 국가안보의 관련성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대만, 중국, 한국을 전체 미국 디지털 경제의 의존성을 대변하는 3대 축이라고 지목했다.

보고서는 특히 대만을 두고는 불상사가 발생할 경우 미국의 가장 크고 중요한 기술 기업들의 대다수를 한꺼번에 멈춰버릴 수 있는 취약점(single point-of-failure)이라고 기술했다.

미국 국방부는 현대 군사장비에 첨단 반도체가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까닭에 관계가 적대적으로 변해가고 있는 중국이 막대한 자금을 반도체에 투입하고 있다는 점도 줄곧 우려해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같은 맥락에서 최근 들어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군사 용도가 아닐 때 미국 기업이 허가를 얻지 않고 중국에 반도체를 수출하도록 하는 제도를 폐기했고, 중국의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TSMC에서 반도체를 만들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기도 하다.

미국의 한 고위 관리는 “미국 정부가 미국의 기술 주도권이 확실히 유지되도록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미국 정부는 계속해서 우리의 동맹국, 해외 파트너뿐만 아니라 주, 지역, 민간부문 파트너들과 공조하고 연구개발, 제작, 공급사슬 관리, 인력개발 등에서 협력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WSJ은 미국 정부 지도부와 기술기업 인원들이 미국 내에서 첨단 반도체를 조달하는 방안을 두고 넓은 공감대를 형성했으나 현재 산업 지형이 복잡한 데다가 계획을 어떻게 집행해갈지를 두고 정부 내부와 산업계 내에서 의견이 같지는 않다고 전했다.

신문은 미국 반도체 기업들의 이익단체인 반도체산업협회가 반도체 국산화를 위한 자체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에 수백억 달러 기금 출연을 권유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