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산업, 그룹 재건 차질 가능성…금호고속 변수로

금호아시아나그룹 본사 모습.

[헤럴드경제] 아시아나항공의 매각이 결국 무산되면서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재건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유동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난해 4월 그룹 매출의 60%를 차지하던 아시아나항공을 팔기로 했다.

유동성 위기는 지난 2006년 대우건설 인수 때부터 시작됐다. 자금 동원력을 넘어서는 무리한 인수가 글로벌 금융위기의 파고에 발목을 잡았다.

대한통운 인수와 매각, 대우건설 매각, 금호산업 등 주요 계열사의 워크아웃과 자율협약 추진 등 악재가 이어진 가운데 아시아나항공을 자금줄로 삼았다가 결국 위기에 빠진 것이다.

이에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은 지난해 3월 모든 직책을 내려놓고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이후 아시아나항공 채권단은 회사 정상화를 위해 1조7300억원을 투입했다.

금호산업은 아시아나항공 보유 지분(지분율 30.77%)을 매각하고 이를 유동성으로 돌리려는 계산이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라는 대형 악재에 직면했다.

매각 무산 이후 채권단은 영구채 출자 전환을 통해 최대주주로 올라 아시아나항공을 직접 관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호산업과 금호고속에도 여파가 전이될 수 있다는 조심스러운 전망도 제기된다. 금호산업이 구주 매각 대금 3228억원을 받아 신규 사업에 투자할 예정이었으나 이번 M&A 무산으로 자금 동원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다행스러운 점은 아파트 물량 확대와 공항공사 발주 등 건설산업의 안정적인 성장이다. 실제 금호산업은 코로나19 여파에도 2분기 누계 기준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한 8000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도 전년 대비 1.6%포인트 개선된 4.4%를 기록했다. 올해 매출액은 지난해보다 7%, 영업이익은 40%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최대주주 자격 박탈 이후 차등 감자 가능성을 제기한다. 통상 채권단의 출자 전환 이후 최대주주의 경영책임에 대한 감자가 이어지기 때문이다. 금호산업의 아시아나항공 지분이 장부가 기준으로 3035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전체 소각에 따른 타격이 불가피하다.

감자 가능성이 작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코로나19에 따른 불확실성에 따른 매각 무산이라는 점과 현 단계에서 언급하기 부적절하다고 밝힌 채권단의 입장이 이유로 거론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박 전 회장은 아시아나항공 매각 추진과 동시에 경영에서 손을 완전히 뗀 상황”이라며 “당시 경영책임을 물었는데 다시 감자해 경영책임을 묻는 것은 가중 처벌일 수 있다”고 말했다.

현산과의 계약금 반환 소송도 예고된 상태다. 현산이 이행보증금으로 납입한 2500억원 중 323억원이 금호산업 몫이다.

서울 강서구 오쇠동 아시아나항공 본사 모습.

지주사인 금호고속도 변수로 지목된다. 코로나19 이후 탑승률이 떨어진 데다 금호산업 지분(45%)을 담보로 한 대출을 갚기 위해 산은에서 빌린 1300억원도 갚지 못해 상환을 내년 1월 말로 연장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금호고속의 차입금 상환 여부에 그룹의 존망이 달려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금호고속의 작년 말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19억원에 불과하다. 광주 유·스퀘어(광주종합터미널)와 목포터미널 등 주요 자산은 이미 담보로 잡혀 있다.

금호산업 관계자는 “코로나19로 탑승률이 떨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운송업에 대한 정부 지원으로 한숨을 돌릴 수 있을 것”이라며 “곧 좋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와 별개로 ‘오너 리스크’는 재부상하는 모양새다. 공정위는 지난달 27일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주력 계열사인 아시아나항공의 기내식 사업권을 매개로 금호고속을 부당 지원했다면서 과징금을 부과했다. 과징금 규모는 금호산업 152억원, 금호고속 85억원, 아시아나항공 82억원 등 총 320억원이다. 박 전 회장과 당시 그룹 전략경영실 임원 2명, 금호산업, 아시아나항공도 검찰에 고발됐다.

금호가(家)와 산은의 악연도 수면 위로 급부상했다. 박 전 회장은 2017년 그룹 재건의 ‘마지막 퍼즐’이었던 금호타이어 인수를 천명했으나 채권단에서 박 전 회장의 6300억원대 자구안에 반대했다. 박 전 회장은 결국 금호타이어를 포기했고, 그룹 재건도 중단됐다. 당시 산은 수장이 연임이 결정된 이동걸 회장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