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떨어지자 이번엔 임금 감소…사업체 종사자도 43개월만에 ‘10만명’ 하회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 [고용노동부 제공]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물가가 좀 떨어졌다 싶었는데, 이번에는 임금이 줄었다.

9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실질임금이 7만3000원 감소했다. 실질임금은 통장에 입금되는 임금에 물가를 반영한 임금의 실질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금액이다.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6%로 1%대로 안정됐지만, 이번에는 명목임금이 감소하면서 실질임금이 감소했다.

경기가 악화하면서 고용도 악화일로다. 10월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9만2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사업체 종사자 수가 10만명 미만을 기록한 것은 지난 2021년 3월(7만4000명) 이후 43개월 만에 처음이다.

고용노동부가 28일 발표한 ‘10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9월 물가수준을 반영한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실질임금은 375만1000원이다. 지난해 9월(382만4000원)대비 1.9%(7만3000원) 줄었다. 물가수준을 반영하지 안흔 근로자 1인당 명목임금이 430만1000원으로 작년 9월(431만6000원)보다 0.3%(1만5000원) 줄어든 탓으로 풀이된다.

근로자 1인당 월별 실질임금 추이 [고용노동부 제공]


올 들어 2~3%대를 유지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월 들어 처음 1.6%로 떨어졌음에도 통장에 입금된 금액 자체가 줄어들면서 실질임금이 감소한 것이다. 앞서 4~8월 5개월 연속 증가하던 실질임금이 9월 들어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서면서 서민들의 삶이 더 팍팍해졌다. 다만 실질임금 감소 이유에 대해 고용부는 “지난해에는 대부분 9월에 지급된 명절상여금이 올해에는 8, 9월에 분산 지급된 것과 자동차 관련 산업에서 임단협 타결금 지급 시기 변경 등으로 특별급여가 감소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올해 10월 마지막 마지막 영업일 기준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2017만3000명으로 전년동월(2008만1000명)대비 9만2000명(0.5%)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21년 3월(7만4000명 증가) 이후 43개월 만에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인구 구조 변화 등과 맞물려 사업체 종사자 증가세는 2022년 이후 계속 둔화하는 추세다.

10월 사업체 종사자 수 [고용노동부 제공]


종사자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는 전년보다 4만명(0.2%), 임시일용근로자는 3만명(1.5%) 증가해 상용근로자 증가폭이 더 컸다. 일정한 급여 없이 봉사료 또는 판매실적에 따라 판매수수료만을 받거나 업무를 습득하기 위해 급여 없이 일하는 이들을 의미하는 기타종사자는 2만2000명(1.8%)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건설업 근로자 감소가 두드러졌다. 건설업에서만 5만명(-3.3%) 근로자가 감소했고, 도매 및 소매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도 각각 2만1000명(-0.9%), 2만명(-1.7%) 줄었다. 반면 ‘세금’ 일자리 사업 비중이 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가 9만9000명(4.2%) 늘어 가장 많이 늘었다. 이어 금융 및 보험업 1만9000명(2.4%),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1만8000명(1.5%) 순으로 늘었다.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19%)은 4000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10월 중 입직자와 이직자도 전년 대비 각각 2.4%, 1.1% 감소했다. 10월 입직률은 4.7%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p) 하락했고, 이직률 역시 4.5%로 0.1%p 떨어졌다.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 경우 입직자가 9만2000명으로 3000명(3.7%) 증가한 반면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자는 80만3000명으로 2만5000명(3.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직자 역시 300인 이상에선 4000명(4.6%) 증가했지만, 300인 미만에선 76만5000명으로 1만3000명(1.7%) 감소했다.

한편, 9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39.5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8.5시간(5.7%) 감소했다. 고용부는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월력상 근로일수가 전년 19일에서 올해 18일로 1일 감소한 탓”이라고 설명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