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총영사관은 지난 7일 보도자료를 통해 “2019년 1~ 4월까지 국적상실 및 국적이탈 처리된 사람은 총 6,803명이며, 이는 전년 동기 12,647명에 비해 약 47% 감소한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한국국적을 버리는 복수국적자들이 해마다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는 보도내용도 과장된 해석이라는 반박자료를 내놓았다. 총영사관측은 법무부의 통계자료를 인용, ” 2015년부터 2018년 까지는 국적이탈 건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나, 2019년 1월~4월 처리된 건은 543건에 불과해 2019년 들어서는 국적이탈 처리 건수가 감소된 상황”이라고 밝혔다. 특히 국적이탈 접수는 매년 1월 ~ 3월 사이 집중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2019년에는 2016년, 2017년에 비해서 오히려 감소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법무부는 2018년 1~4월 사이 국적이탈 처리 건수가 급증한 이유를 ① 개정 재외동포법의 시행(2018년 5월1일)에 따른 영향 ② 이전에 접수된 신고건수를 집중 처리한 결과라고 설명하고 있다. 2018년 5월1일 이전에 국적이탈이 완료되면 한국에서 경제활동이 자유로운 재외동포비자(F-4)비자를 받을 수 있으나, 2018년 5월 1일 이후에는 국적이탈 시 40세 되는 해 12월말까지는 재외동포비자(F-4)비자를 받을 수 없어 2018년 1월~2018년 3월 국적이탈 접수가 집중됐다는 것이다. 또한, 2016년 및 2018년 국적상실 신고 증가도 국회의원 선거 등 지원을 위해 기존에 접수된 국적상실 신고를 집중 처리한 결과라고 설명하고 있다.
한편 올해 발표된 미국 이민귀화국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최근 한국국민이 미시민권을 취득하는 건수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지는 않다는 게 총영사관측의 주장이다.
미국시민권을 취득한 한국국적자는 2013년 1만5,786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래 2014년 1만3,587명으로 줄어들었다가 2015~2017년 3년 동안에는 1만4,230명·1만4,347명·1만4,643명 근소하게 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