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ㆍ신발 주문 넣으면 24시간내 생산 ‘스피스팩토어’ 구축

2023년까지 섬유패션산업에 5600억원 투입

26일 경제활력대책회의 섬유패션산업 활력제고 방안 발표

앞으로 의류 또는 신발매장에서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제품을 주문하면 공장으로 바로 전송돼 24시간 내에 개인 맞춤형 옷이나 신발을 만들어 배송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또 군복의 국산 섬유 사용이 의무화된다. 청년들이 섬유패션산업 창업을 희망할 경우, 공간과 장비를 무상으로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2023년까지 섬유패션산업에 5600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홍남기 부총리 주재로 열린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섬유패션산업 활력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섬유패션산업 활력제고 방안’의 핵심은 봉제·염색 등 섬유패션의 전 공정을 2∼3년 내에 이 같은 ‘스피드팩토어’로 탈바꿈시키는 기술을 사업장에 접목하겠다는 것이다. 스피드팩토어는 ‘팩토리(공장)’와 ‘스토어(매장)’를 합성시켜 국내에서 처음 만든 단어로, 기존에 생산공정이 자동화된 스마트팩토리에서 매장으로부터 5G(세대) 이동통신을 통해 전송받은 소비자 주문 명세대로 수요자 맞춤형 제품을 재빠르게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산업부는 생산성과 환경이 취약한 봉제와 염색공장부터시작해서 원사 생산과 유통에 이르기까지 전 밸류체인을 관통하는 스피드팩토어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미 봉제부문과 염색부문은 올해부터 2021년까지 총 160억원을 투입해 봉제로봇 활용 등 기술개발과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신발부문도 2022년까지 전공정자동화로 독일 아디다스 이상의 신발 스피드팩토어를 구축하기 위해 230억원을 투입하고 있다.

자동차, 항공 등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산업용 섬유 중심의 고부가 첨단제품으로 탈바꿈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산업용 섬유의 수출 비중은 한국이 23%에 불과한 반면 미국은 48%, 독일 49%, 일본 39%로 우리나라보다 훨씬 높다.

탄소섬유, 아라미드 등 고부가 산업용 섬유개발에 올해 800억원을 쏟아붓고, 소방관과 경찰 등을 위한 안전보호 섬유제품 개발에도 2023년까지 524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군 피복류에 미국처럼 국산소재를 우선 사용하도록 의무화하도록 방위사업법을 개정하고, 공공기관의 난연제품 사용을 확대하는 등 국내 수요를 창출할예정이다.

또 압축천연가스(CNG) 시내버스에 탄소섬유로 제작된 수송용기를 부착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수소차 고압용기 탄소섬유 연구개발(R&D)도 추진 중이다.

염색공장 등 업계의 만성적인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노동자 고용한도를 20% 올리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이밖에 생산설비 고도화를 위해 섬유 R&D 및 사업화 시설투자 공제대상을 기존 6개에다 극한성능섬유, 의료용 섬유, 친환경섬유, 섬유기반 전기전자소재 등을 추가해 10개로 확대한다.

섬유패션사업은 지난 1987년 업종 최초로 100억달러 수출을 달성하는 등 한국 경제성장의 주역이었으나 2000년대 들어 국내생산비 상승과 기술투자 부족, 주문자 상표부착 생산(OEM) 안주 등으로 경쟁력이 약화해 사양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강경성 소재부품산업정책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2023년까지 섬유패션산업에 5558억원이 투입된다”면서 “섬유는 누구나, 어디서나 사용하는 플랫폼으로 ICT, 자동차·항공 등과 융복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4차산업혁명의 첨단 신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