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만에 기업회생절차 신청…쌍용자동차 신차출시 빨간불

쌍용자동차가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한 가운데 자산 처분 보류 신청서를 접수하면서 중장기 전략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22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는 지난달 레벨3 자율주행차 임시 운행 허가를 취득하고 이달부터 일반도로에서 시험 주행을 시작했다.

쌍용차는 시험 주행에 투입하는 코란도 기반 자율주행차의 운행 구간을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내년 이후가 문제다. 경영 정상화를 통한 판매 확대가 이뤄져야 계획된 연구개발은 물론 신차 일정까지 보장할 수 있어서다.

내년 2월 출시를 목표로 마지막 품질 테스트를 진행 중인 전기차 ‘코란도 E-모션’의 일정도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쌍용차의 승부수라는 것이 안팎의 평가지만, 업계는 외주 기술에 의존한 해당 모델의 성공 가능성에 냉담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브랜드 신뢰도 추락에 따른 기존 모델의 판매량 감소도 우려된다.

실제 지난 3분기 기준 쌍용차의 연구개발 비용은 1131억원에 불과했다. 합산 3조원 규모의 현대·기아차와 대비된다. 신규 투자자 유치를 통해 비용을 확보하지 못하면 전기차 전용 플랫폼은 물론 후속 미래차를 선보이지도 못하는 최악의 상황이 현실화할 수도 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현대·기아차는 계열사를 통한 선도적인 기술력 확보를 통해 전용 플랫폼을 선보였지만, 쌍용차는 비계열사 위주의 기술력으로 전기차를 개발하다 보니 비용이 가장 큰 문제가 됐다”며 “전기차 경쟁이 심화하는 환경에서 비용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쟁력이 사라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내년 이후 강화하는 유럽연합의 이산화탄소(CO2) 배출 저감 규제와 국내 전기차 확산 정책도 부담이다. 디젤·가솔린 등 내연기관 위주의 SUV(스포츠유틸리티차)를 생산하는 기업의 특성상 새로운 수출국을 확보하기도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전기·수소차의 비중을 2022년 10%, 2025년 18%까지 확대하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2021년 레벨3 자율주행차를 출시한 이후 2024년 레벨4의 일부 상용화도 계획하고 있다. 외국계 본사를 둔 한국지엠과 르노삼성차와 달리 모든 개발 비용을 짊어져야 하는 쌍용차로서는 버거운 현실만 남은 셈이다.

비용 절감 차원의 투자 비용 감소와 대규모 구조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신규 투자자로 언급되는 미국의 HAAH오토모티브홀딩스의 자금조달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앞서 HAAH가 마힌드라와 협상에서 밝힌 지분 확보 비용은 약 2900억원이다. 마힌드라가 쌍용차 지분 75%를 인수하기 위해 투입한 6200억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경영 정상화를 위한 부대비용을 고려하면 연구개발 비용은 기존보다 더 삭감될 가능성도 크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차를 포함한 신차 점유율을 늘려야 완성차 업체의 영속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가 부품협력사 지원에 무게를 두고 있는 만큼 대주주 지위를 가진 마힌드라의 역할이 내년 이후 쌍용차의 생명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정찬수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