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결혼 기피 심각…출산에 장기영향 우려”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혼인이 출산보다 단기 타격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12일 보험연구원 소속 이태열 선임연구원의 ‘코로나19 이후 출산 및 혼인의 추이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후 월간 출생아 수 증감률은 작년 11월 최대 낙폭을 기록한 후 기존 추세를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간 출생아수 증가율은 2016년 -14.16%를 기록한 후 점차 감소율이 축소되는 추세를 보이다가 코로나19 발생 후인 작년 10월과 11월 각각 -14.56%와 -15.48%를 기록했다. 이는 2001년 12월(-17.0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태열 선임연구원은 “코로나19가 심각해진 작년 2월부터 단기적으로 임신 회피 현상이 나타나면서 9개월 이후인 10∼11월에 급격한 출생아 수 감소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작년 12월부터는 감소세가 둔화하며 올해 6월에는 출생아수 증가율이 -2.67%를 기록, 코로나19로 인한 월간 출생아수 급감은 단기에 그쳤다.

반면 월간 혼인수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 영향으로 작년 4∼5월에 증가율이 -21.76%와 -21.27% 등으로 추락, 출생아수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는 1997년 1월(-22.92%) 이래 최저 기록이다.

작년 4월부터 1년간 혼인수는 전년 동기 대비 -14.74%를 기록했다.

올해 각달의 이전 1년간 출생아수, 혼인수를 전년 같은 달 이전 1년간 기록과 비교하면 출생아수는 작년 10월 이후 짧게 하락했다가 우상향하고 있으나 혼인수는 올해 1분기까지 빠르게 감소했고 본격적인 회복세가 보이지 않는다.

빠른 혼인 감소가 출생아수에 즉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혼인 후 여러 해가 지나서 출산하는 부부가 적지 않기 때문이라고 이 선임연구원은 추측했다.

그러나 한국은 출생아수의 97.4%(2020년 기준)가 부부 사이에서 태어나며 혼외자의 비중이 미미한 점에 비춰 혼인수 감소는 결국 출생아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선임연구원은 “혼인수는 올해 2분기에 감소세가 다소 완화했으나 코로나19 4차 유행으로 하반기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다면 이는 2년째 심각한 위축을 겪게 되는 것이므로 출산 여건 악화가 구조적으로 고착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코로나의 4차 유행기에 혼인이 지나치게 위축되지 않도록 사회적으로 다양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123RF]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