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매드(Nomad)란 방랑자나 여행자 유목민 등을 뜻한다. 코로나 19 이후 재택 근무가 정상적인 근무 형태로 자리잡으면서 디지털 노매드 (Digital nomad)라는 신개념이 등장했다. 인터넷을 활용해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근무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그런데 이 노매드가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력을 미치기 시작했다.
데일리뉴스 그룹은 최근 미국공동주택협회(NMHC)가 약 22만명의 세입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인용해 전체 46%의 응답자들이 1년 동안 여러 도시들의 아파트를 돌아다니면서 살 수 있는 렌트 계약이 있다면 이를 택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직장에서 안정적인 자리를 잡게 되는35세에서 44세의 연령층의 경우 무려 61%가 이와 같은 렌트 계약에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이런 노매드 현상은 재택 근무의 정착화 때문이다. 출근이 필요 없는 근무 형태가 자리를 잡으면서 다양한 도시에서 삶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이다.
NMHC 의 릭 호이 부이사장은 “재택근무가 보편화되면서 시작된 변화”라며 “이러한 디지털 노매드 현상은 앞으로 부동산 렌트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렌트 시장에서 리스 기간이 짧아지는 현상이 이미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NHMC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60%의 세입자들이 코로나 19 확산 이후 18개월 안에 이사를 했다고 답했는데 이는 지난 2019년 진행된 유사 조사 당시의 답변 27%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또 73%의 응답자들은 내년에도 재택근무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는데 이 경우 타 지역으로 이사하는 비율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남가주 지역 아파트 관리 업체 관계자들은 “코로나 19이후 수입이 줄고 재택근무가 자리를 잡으면서 세입자들이 렌트비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라며 “이전에는 직장과 가까운 곳에 머물러야 해 렌트비가 올라도 억지로 머물렀다면 이제는 계약을 짧게 하고 렌트비에 따라 수시로 이동하는 세입자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최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