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만에 中 앞지른 美 수출…무역 판이 뒤집혔다

부산 강서구 부산신항 위로 아침 해가 떠오르고 있다. 부산=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지난달 미국으로의 수출이 20년 만에 처음으로 대중(對中) 수출을 앞질렀다.

전기차 등 대미 수출이 활발히 이뤄진 대신, 반도체 등 중국으로의 중간재 수출이 부진했던 때문이다. 지난해 대중 무역수지(수출-수입)는 한중 수교가 이뤄진 1992년 이후 31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를 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3년 수출입 동향을 보면 '대미 수출 약진, 대중 수출 약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작년 12월 대미 수출액은 113억달러를 기록,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에 월간 기준으로 미국이 2003년 6월 이후 20여년 만에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 지위를 회복했다. 반면 대중 수출은 109억달러로 전년 같은 달보다 2.9% 감소했다.

연간 단위로도 2023년 최대 수출 시장인 중국(19.7%)과 2위인 미국(18.3%)의 수출 비중 차이는 2003년 이후 최소인 1.4%포인트로 좁혀졌다. 2020년까지만 해도 중국과 미국의 비중 차이는 11%포인트 이상이었다.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한국은 작년 미국과 교역에서 445억달러의 흑자를 냈다. 작년 전체 대아세안 흑자(312억달러)보다 많다. 이로써 미국은 작년 한국의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이 됐다. 2002년 이후 21년 만이다.

반면 지난해 중국과 교역에서 한국은 180억달러 적자를 봤다.

이 같은 무역 흐름 변화는 구조적 변화 속 나타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미중 간 갈등에 따라 불거진 공급망 재편과 주요국의 자국 중심 통상 정책 등 환경 변화가 산업구조의 틀을 바꾼 것이다.

대미 수출은 자동차 판매 호조로 확대됐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전기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 호조로 작년 1∼11월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287억7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44.2% 급증했다.

북미 조립 전기차만 보조금을 주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에도 예외적으로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상용 리스 채널 판매 길을 뚫어 대미 전기차 수출의 활력을 이어갔다.

또 IRA에 대응해 북미에 진출한 이차전지 업계들이 현지 공장 가동을 본격화해 양극재 등 이차전지 소재 수출 역시 확대됐다.

반면 대중수출은 2022년 2분기부터 7분기 연속 줄고 있다.

중국 경기 반등이 더뎌지면서 한국산 중간재 수입이 줄어든 것이란 분석도 있지만, 중국이 중간재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투자를 확대하면서 한국과 중국의 무역시장에서의 역할이 뒤바뀌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연구원은 '2024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중국의 제조업 경쟁력 향상으로 중간재 자급률이 상승했고, 한국산 중간재 수입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전체 수입에서 한국 비중도 2015년 10.9%에서 2023년 6.3%까지 줄었다.

반면 한국은 이차전지 산업이 커지는 가운데 리튬이나 전구체 등 핵심 소재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면서 중국에서 대규모로 수입해 들여와야 하는 상품이 늘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작년 상반기 수산화리튬, 황산니켈, 황산코발트, 전구체 등 주요 이차전지 소재의 대중국 의존도는 각각 82.3%, 72.1%, 100%, 97.4%에 달했다. 작년 1∼11월 한국이 중국에서 사 온 수산화리튬만 46억달러어치로 집계된다.

국내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가격 경쟁력이 있는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 수입도 늘었다. 작년 1∼11월 수입액은 59억달러로 중국 수입 품목 중 1위다. 배터리와 수산화리튬 두 항목에서만 작년 한국은 100억달러 이상, 한화로는 약 13조원의 무역 적자를 봤다.

이에 따라 바뀐 무역 상황에 대응하려면 중간재 중심 대중 수출을 다변화하고 기술개발과 시장 개척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무역협회는 보고서에서 "중국이 중요한 수출 시장임은 변화가 없다"며 "수출 시장 다변화를 통해 대외 여건 변화의 리스크를 분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