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 금통위 관전포인트는…관심은 온통 ‘태영 워크아웃’

[연합]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오는 11일 새해 첫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열리는 가운데, 금융권의 관심은 태영건설 워크아웃 개시 여부에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

금통위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여전히 3%대로 둔화세가 더딘 상황에서 가계부채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본격화되고 있는 등 금융 불안 요소까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금통위가 열리는 날은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여부를 결정하는 채권자협의회가 열린다. 금융당국은 태영건설의 자구책 마련과 채권단 설득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채권단 75%의 동의를 얻어야 해 다음주 내내 줄다리기를 이어갈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태영건설 워크아웃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협력사들의 줄도산으로 인한 은행권의 부실이 커질 수 있다. 또 증권사·캐피탈·저축은행 등 비은행 중소형 금융사들의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될 가능성도 있어 한은은 관련 상황에 촉각을 기울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와 관련해 지난 3일 “일부 위험신호가 감지되고 있는 부동산 PF의 경우 질서있는 정리 과정에서 한은도 정부 및 금융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금융안정을 달성하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은은 우선 2022년 말 자금경색 사태와 같은 시스템 리스크는 크지 않다고 보고 개별 건설사 등의 상황은 언급을 아끼는 분위기다. 이 총재도 거듭 ‘질서 있는 정리’를 강조하고 있다.

[뉴시스]

또한 올해 첫 금통위는 박춘섭 전 금통위원이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금통위원 6명 중 한 자리가 공석인 채로 진행된다. 한 달 넘게 후임자 인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이 총재를 포함한 전체 7명의 금통위원 중 5명 이상이 출석하고 이들 중 과반수가 찬반을 표시하면 본회의 안건을 심의·의결할 수 있어 법적으로 회의 진행에 문제는 없다.

금융권은 5인 금통위 체제 아래에서 매파적(금리 긴축 선호)인 메시지가 어느 정도로 감지될지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30일 금통위 당시 이 총재는 “오늘 금통위원 6명 중 4명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지난해 10월 19일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던 금통위원 1명이 발언을 철회했다고도 말했다.

아울러 올해에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결정과 글로벌 경기 침체 등 대외 불안 변수가 상존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연준의 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선 일부 위원이 예상 밖의 ‘추가 금리 인상’ 주장을 내놓으면서 시장 긴장감이 커졌다. 이에 연준의 긴축 조기 종료 기대감은 옅어지고 인하 시점은 더욱 불투명한 상태다.

이밖에 중동 사태 등 지정학적 충격에 따른 국제유가 흐름, 원/달러 환율 추이, 우리나라 경상수지 추이 등도 고려사항이다. 또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도 줄줄이 예정돼 있어 물가 경로상 불확실성도 큰 상황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