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여성은 고학력일수록, 남성은 저학력일수록 결혼을 안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 인구의 증가로 노동 공급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BOK이슈노트-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11월 30~54세의 미혼 비중을 파악한 결과 고학력 여성의 미혼 비중은 28.1%로 저학력 여성(15.9%)의 두 배에 가까웠다. 반면 저학력 남성의 미혼비중은 30.9%로 고학력 남성(27.4%)보다 3.5%포인트 높았다.
한국의 전체 미혼율은 2000년 27.9%에서 2020년 31.1%로 증가했다. 이 기간 남성은 31.7%에서 36%로, 여성은 24.4%에서 26.3%로 늘었다.
초혼 연령도 남성은 29.3세에서 33.7세로, 여성은 26.5세에서 31.3세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20대 미혼율은 71.1%에서 92.8%로 급증했다.
노동시장 측면에서 분석할 경우 남성이 미혼일 경우 노동공급이 줄어들고, 여성이 미혼일 경우 노동공급은 늘어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2013~23년 평균)은 미혼 대비 각각 13%포인트, 16%포인트 높고 실업률은 약 4%포인트 낮다. 또 기혼 남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낮아 1인당 근로시간이 더 길게 나타난다. 반면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미혼 대비 각각 19%포인트, 16%포인트 낮다. 또 기혼 여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높아 1인당 근로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 우리나라의 경우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높아질수록 출산율은 낮아지는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현재 세대의 여성 노동공급이 늘어날수록 미래의 노동공급은 낮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