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VCC) 센트럴홀 SK 통합부스에서 관람객들이 수소연료전지로 이동할 수 있는 12인층 열차를 체험하고 있다. [SK 제공] |
[헤럴드경제(라스베이거스)=한영대 기자] “여기가 놀이동산이야? CES 전시관이야?”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2024 개막을 하루 앞둔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센트럴홀에 마련된 SK 통합 부스. SK 부스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건 단연 12인승 열차였다. 열차는 테마파크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놀이기구 열차와 비슷했다.
관람객을 태운 열차는 약 15m를 이동하면서 기후위기가 사라진 넷제로(탄소중립) 세상 영상을 보여주는 미디어 터널를 통과했다. 미디어 터널 영상에서는 수소,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등 SK 신사업 기술도 발견할 수 있다.
테마파크 콘셉트로 꾸민 560평 규모의 SK 부스에는 놀이동산에서 볼 법한 즐길 거리가 곳곳에 발견됐다. 신기술 및 제품을 단순히 전시하는 것에 나아가 SK만의 CES 전략을 확인할 수 있는 차별화 포인트였다.
김동현 SK USA 법인 담당(부사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시저스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주제인 ‘행복’을 어떻게 하면 조금 더 인상 깊게 표현할 수 있을까 생각해서 나온 아이디어가 ‘디즈니랜드’였다”며 “테마파크로 전시관을 꾸린 것은 최근 5년간 없었던 특이한 형태의 부스”라고 설명했다.
![]() |
SK가 CES 2024에 마련한 테마파크 콘셉트의 부스 전경 [SK 제공] |
우선 부스 입구에는 라스베이거스 랜드마크인 ‘스피어’를 떠오르게 하는 소형차 크기의 대형구체 LED가 설치돼 있었다. 부스 한 쪽에는 개인 얼굴과 타로카드를 합성, 나만의 타로카드를 만들어 주는 ‘인공지능(AI) 포춘텔러’ 구역이 마련돼 있었다. 또 다른 한쪽에서는 도심항공교통(UAM)을 연상케 하는 양탄자 ‘매직 카펫’이 관람객을 태우고 2m 높이를 날고 있었다.
로봇팔에 매달린 실물 모형의 자동차가 춤을 추듯이 화면 앞에서 움직이는 ‘댄싱카’ 등 다양한 볼거리도 마련돼 있었다. SK온이 전시한 ‘댄싱카’는 5분 가량의 영상을 통해 일반인들도 쉽게 전기차 배터리를 이해하도록 했다. 또, 로봇팔을 활용해 배터리가 전기차 바닥에 탑재되는 모습을 관람객 시선에서 볼 수 있게 했다.
즐길 거리에는 SK 친환경AI 신기술이 숨어져 있다. 12인승 열차는 SK E&S 파트너사인 플러그파워가 개발한 수소연료전지 ‘젠드라이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타로카드를 만드는 장비의 경우 타로카드를 만드는 과정에서 화면을 통해 최근 SK하이닉스의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반도체(HBM)’를 소개한다. HBM는 타로카드 제조 장비에도 내장돼 있다.
![]() |
SK가 CES 2024 부스에 마련한 ‘매직 카펫’이 관람객을 태우고 2m 높이를 날고 있다. [SK 제공] |
댄싱카 구역에서는 자동차 뒤에 있는 화면에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동박, 전기차 충전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실리콘 음극재 등이 소개된다. 양탄자 모형의 UAM은 2025년 한국 내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UAM을 형상화한 것이다.
SK가 CES 2024 부스 콘셉트로 테마파크를 선정한 이유는 관람객들에게 SK의 친환경AI 기술을 쉽게 소개하기 위해서이다. 김 부사장은 “디즈니랜드는 이야기가 현실이 되는 곳”이라며 “꿈꿔왔던 이야기가 눈앞에서 펼쳐질 때 유쾌함은 SK의 넷제로 방향성과 일치한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히) 제품을 보고 읽어보는 것과 비교했을 때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부스가 관람객들에게 많이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관람객들이 사진을 많이 찍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유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