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진 외교부 장관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로 출근하고 있다. 박 장관은 오는 4월 10일 치러질 22대 국회의원선거에 도전할 예정으로 이날 이임식을 갖고 외교부 장관직에서 물러난다. [연합] |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윤석열 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으로 1년8개월 간 재임한 박진 외교부 장관이 10일 “국회로 돌아가면 국가의 미래 발전은 물론이고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이날 오전 외교부 청사에서 마지막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4월 총선에 지역구인 강남을로 출마하는가’라는 질문에 “아직 현역 국회의원이기 때문에 지역구로 돌아가서 열심히 뛰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박 장관은 “20개월간 하루도 쉴 틈 없이 글로벌 중추국가를 만들기 위해서 열심히 달려왔다"며 "대한민국 위상이 주요 7개국(G7)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높아지고 국력도 많이 확대됐다고 생각한다. 외교부 장관으로서 큰 보람을 느낀다”고 이임 소회를 밝혔다.
이어 한국이 올해부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을 수임하는 것을 거론하며 “본격적인 외교 무대가 펼쳐지고 있기 때문에 국회에서 열심히 응원하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간 외교부를 성원해 준 국민 여러분들과 불철주야 노고가 많은 외교부 직원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오늘 퇴임한다고 생각하니 아쉬움도 남는다. 앞으로 신임 조태열 외교부 장관께서 잘해 주시리라고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
박진 외교부 장관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로 출근하다 취재진과 만나 인터뷰 하고 있다. 박 장관은 오는 4월 10일 치러질 22대 국회의원선거에 도전할 예정으로 이날 이임식을 갖고 외교부 장관직에서 물러난다. [연합] |
박 장관은 서울대 법대 재학 중이던 1977년 외무고시(11회)로 입부했고,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에서 행정학 석사, 옥스퍼드대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김영삼 전 대통령에게 발탁돼 청와대 공보비서관과 정무기획비서관을 지냈고, ‘대통령 통역’을 맡아 정상외교 경험도 풍부하다.
2002년 서울 종로구 보궐선거를 통해 국회에 입성한 박 장관은 16·17·18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2020년 21대 총선에서 강남을에서 4선에 성공했다.
외교부와 청와대에서의 현장 경험, 4선 국회의원으로 무게감과 의원외교까지 폭넓은 경험으로 윤 정부 초대 외교부 장관에 발탁돼 1년8개월간 외교부를 이끌었다.
박 장관은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과 ‘진-토니’ 케미스트리로 한미 외교장관 간 협력의 보폭을 맞췄고, 재임 기간 한일관계와 한미일 3국 협력 복원에 기여했다.
다자무대에서는 특유의 친화력을 발휘해 쉴 틈 없이 뛰었고, 특히 ‘약한 고리’로 평가됐던 한중, 한러 관계에서 외교 장관 간 채널을 유지하며 관계 악화를 막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특히 각국 외교장관과 ‘SNS 소통’에 적극적이었으며, 잼버리 사태 당시 각국 장관들의 쏟아지는 질의에 즉각 대응하며 외교문제로 비화되는 것을 방지한 일화는 유명하다.
박 장관은 오는 4월 총선에 출마 의사를 밝혔다. 박 장관 후임으로는 조태열 전 주유엔 대사가 지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