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끝, 현금 쓸 맛 나네” 지난해 ‘5만원권 환수율’ 2018년 이후 최대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영향으로 대면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지난해 5만원권 환수율이 2018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3년 5만원권 환수율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5만원권 환수율은 67.1%로, 2018년(67.4%·역대 최고치)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5만원권 환수율은 2019년 60.1%에서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2020년 24.2%로 급감했고, 2021년에도 17.4%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후 2022년 56.5%로 반등하기 시작해 다시 2018년 수준으로 돌아왔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였던 2020~2021년 4~6조원으로 쪼그라든 5만원권 환수금액이 지난해엔 14조1000억원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한국은행 제공]

한은 관계자는 “5만원권 환수율 상승은 대면 상거래 회복에 따른 화폐 환수경로 정상화와 예비용 및 가치저장 목적의 화폐수요 감소 등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환수율이 크게 감소했던 코로나19 확산기(2020~2021년)와 비교해 2023년 중 5만원권 발행액은 크게 줄어들지 않았으나 환수액이 크게 증가한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한은에 따르면 코로나19 기간 중 대면 상거래 제약 등으로 위축됐던 화폐유통이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2022년부터 확대되기 시작했다. 음식숙박업, 운수업, 여가서비스업 등 전통적으로 현금매출 비중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화폐유통이 정상화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현금수송회사(CIT)의 상거래기업 화폐관리업무 실적은 2021년 2조7000억원에서 2022년 5조2000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원화 가치가 출렁이면서 더는 화폐를 보유할 이유도 사라졌다. 최근 시중금리 상승에 따른 현금보유의 기회비용 증가 등으로 예비용 및 가치저장 목적의 화폐수요가 줄어들면서 코로나19 기간중 대규모 순발행된 자금이 환수됐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고액권의 경우에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금리상승 등의 영향으로 환수율이 상승했다.

미국의 100달러 환수율은 2020년 75.7%에서 2022년 105.6%를 기록했다. 유로지역 또한 100유로 이상 고액권의 환수율이 같은 기간 51.0%에서 81.3%으로 뛰었다.

향후 5만원권 환수율 전망에 대해 한은은 “단기적으로는 시중금리 향방에 영향을 받는 가운데 장기적으로는 비현금지급수단 확산 추세, 5만원권 유통수명 도래에 따른 손상권 증가 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앞으로 시장금리의 변동성 확대 등에 따른 민간 화폐수요의 급격한 변화 가능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국민의 화폐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