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10년이 지난 빌딩이나 주택은 서울시로부터 에너지효율화를 위해 무이자 융자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사진은 저탄소건물 전환공사 후.[서울시 제공] |
저탄소건물 전환공사 전.[서울시 제공] |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서울에서 10년이 지난 빌딩이나 주택은 서울시로부터 에너지효율화를 위해 무이자 융자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2024년 건물에너지효율화(BRP) 융자지원 사업을 18일부터 시작한다고 17일 밝혔다. 융자지원 규모는 지난해보다 80억원 늘어난 300억원이다.
BRR 융자사업은 창호, 단열재, 조명 교체 등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공사에 드는 비용을 무이자 융자 지원하는 사업으로 2008년 시작됐다.
시의 온실가스 약 70%는 건물에서 배출되고 있으며 준공 30년 이상 노후 건물은 서울 시내 전체 건물의 54.3%를 차지한다.
이들 노후건물의 단위 면적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신축건물의 2배 이상 수준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특히 올해 무이자 융자의 지원 규모를 지난해보다 80억원 증액해 300억원으로 확대했다. 지난해는 본예산에서 BRP 예산 120억원을 편성했으며 추가경정예산으로 100억원을 추가 확보해 총 220억원을 무이자 융자 지원했다.
지원 대상은 승인 후 10년이 지난 서울 소재 민간 건축물이다.
건물은 최대 20억원, 주택은 최대 6000만원까지 무이자 융자를 지원한다. 융자금은 8년 이내 원금 균등분할 상환하면 된다.
BRP 지원시스템을 통해 신청서를 내면 심의위원회를 열어 적합·타당성을 심의하고, 공사가 끝나면 약정된 금융기관의 대출 절차에 따라 공사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 올해는 시민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주택 부문 대출 시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보증보험 가입 요율을 전년보다 23.7% 낮췄다.
이에 1000만원 융자 시 평균 보험료는 약 12만원에서 9만원으로 줄었다. 아울러 사업참여자의 만족도와 사업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가 투입 등 현장 점검을 강화하고 시공업체 위반사항에 대해 조치기준을 세분화하는 등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시는 또 2월1일 오후 2시 시청 서소문청사 후생동 4층 강당에서 BRP 사업에 관심 있는 건물·주택 소유자, 시공업체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연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BRP사업지원시스템 공지사항이나 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