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주체코한국대사관 SNS에 올라온 그림에는 한국의 식사 예절을 소개하는 여성이 중국풍 옷을 입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서경덕 교수 제공] |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최근 일부 대한민국 재외공관이 소셜미디어(SNS)에 한국 문화를 소개하면서 일장기를 연상케 하는 태극기 등 오해를 부를 만한 그림들을 올려 빈축을 사고 있다.
서 교수는 23일 페이스북에 "해외에 거주하다보면 대한민국 재외공관의 SNS 계정을 팔로워 해 다양한 정보를 받아보고 서비스 등을 이용하게 된다"며 "그런데 한국을 대표하는 이런 재외공관의 SNS 계정에 한국 문화를 소개하면서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디자인 파일을 첨부해 종종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체코한국대사관과 주밀라노총영사관이 SNS에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글을 올리면서 첨부한 그림들을 문제 삼았다.
![]() |
최근 주밀라노총영사관 SNS에 올라온 그림에서 태극기가 일장기처럼 비춰지고, 한복의 고름도 올바르지 않아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서경덕 교수 제공] |
서 교수는 "주체코대사관은 한국의 식사 예절을 소개하는데 중국 복식으로 많이 사용되는 일러스트를 사용했다"며 "안 그래도 중국이 한복(韓服)의 기원을 한푸(漢服·중국의 전통 의복)라고 억지 주장을 펼치는 상황에서 좀 더 신중했어야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주밀라노총영사관은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을 소개하는 글에서 태극기인지 일장기인지 알 수 없는 사진과 옷고름을 나비 리본으로 한 사진을 사용해 논란이 된 바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류가 세계에 전파되면서 재외 공관의 SNS 계정은 이제 한국인들뿐만이 아니라 외국인들도 많이 팔로잉하기에 디자인(그림 파일)을 좀 더 신경써서 해야만 한다"며 "재외공관이 현지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알리는데 더 큰 역할을 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