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직원 1인당, 근속기간 내 최대 1500만원까지 지원하겠다.”
한국머크가 난임으로 고민하는 직원들의 치료 및 가임 능력 확보를 위해 1인당 최대 ‘1500만원’을 지원한다.
저출산은 이미 전 세계가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다. 한국의 경우 통계청이 예상한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2명’에 불과할 만큼 심각한데, 이런 상황과는 별개로 아이를 낳고 싶어도 낳지 못 해 난임치료를 받는 환자도 ‘25만명’이 넘는 상황이다.
특히 한국머크는 난임치료 대상으로 남성까지 포함시켜 직원들의 경제적 어려움 등을 해소하겠다는 방침이다.
[게티이미지뱅크]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21년 난임치료를 받은 환자는 약 25만2000명이다. 이중 남성 난임환자도 약 9만명(35.4%)에 달한다.
한국머크는 한국에 재직 중인 머크 직원과 배우자, 결혼 여부(사실혼 포함)나 성별, 성적지향에 관계없이 난임치료를 지원하기로 했다. 지난해 10월 1일부터 독일, 영국, 스위스, 중국, 대만 등 8개 국가에서 우선적으로 적용됐고, 올해부터는 한국에서도 가임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다.
세부적인 가임 지원 프로그램은 체외수정(시험관 시술), 세포질 내 정자 주입, 인공수정, 생식 세포냉동, 각종 난임검사 및 진찰료(정액분석·난소예비검사·자궁검사 및 호르몬검사 등), 남성 난임치료(호르몬·수술적 치료·보조생식술) 등이다.
[게티이미지뱅크] |
눈에 띄는 부분은 남성 난임치료도 포함돼 있다는 점이다. 연간 3일 이내 난임치료휴가(유급 1일+무급 2일), 심리상담서비스 등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난임치료 대상으로 여성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은데, 난임치료가 필요한 남성도 적잖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난임시술을 받은 남성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보면 남성은 ▷난임을 남성성 상실로 인식 ▷가족들로부터 받는 스트레스 ▷배우자에 느끼는 죄책감 등 어려움 ▷난임치료 경험 공개에 대한 부담감 ▷난임치료를 위한 시간 및 경제적 부담감 등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조사에 참여한 한 참여자는 “물론 지원을 많이 받는다고는 해도 지원이 안 되는 약도 있고, 한 달에 80만원씩 나가거나 한다”고 했고, 또 다른 참여자도 “뭐니뭐니해도 시간과 돈이죠”라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머크 글로벌 본사 전경. [머크 홈페이지 캡처] |
크리스토프 하만 한국머크 바이오파마 제네럴 매니저는 “저출산 문제는 인식의 변화가 반드시 수반돼야 하기에, 머크는 직원들에게 제공되는 지원금 또는 복지 혜택만큼이나 기업 차원에서 올바른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