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GDP 1.4%

지난해 한국 경제가 1.4% 성장했다. 한국은행과 정부 전망치에는 부합하는 수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역성장을 기록한 2020년 이후 최저치일 뿐더러 2022년(2.6%)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관련기사 4면

특히 정부소비와 지식재산생산물투자가 급감했다. 정부소비는 2000년,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재정지출과 연구개발(R&D) 산업이 얼마나 줄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한국은행은 25일 2023년 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대비·속보치)이 0.6%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분기별 성장률(전분기대비)은 수출 급감과 함께 2022년 4분기(-0.3%) 뒷걸음쳤다가 지난해 1분기(0.3%) 반등한 뒤 2분기(0.6%), 3분기(0.6%), 4분기(0.6%)에 걸쳐 네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 기조를 유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GDP 성장률은 1.4%로 집계됐다.

지난해 GDP에 대한 지출항목별로 살펴보면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증가 전환했으나, 민간소비, 정부소비, 수출 및 수입은 증가폭이 축소했다.

이 중 지난해 정부소비 성장률은 1.3%를 기록했다. 이는 2000년 0.7% 이후 23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1998년 -2.9% 이후 최저치인 1.6%를 나타냈다. 외환위기 이후 25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2022년 성장률을 이끌었던 민간소비도 크게 줄었다. 지난해 민간소비 성장률은 1.8%에 그쳤다. 보복소비 효과를 냈던 2022년엔 4.1%였다.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내수침체가 본격적 영향을 미친 양상이다. 수출은 2022년 3.4%에서 2.8%로, 수입은 3.5%에서 3.0%로 감소했다.

분기별로 보면 성장률이 빠르게 회복하진 못하는 모양새다.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은 전기대비 0.6% 증가했다. 2분기부터 4분기까지 같은 수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4분기 민간소비는 재화소비가 줄었으나, 거주자 국외소비지출 등이 늘어 전기대비 0.2%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 및 사회보장현물수혜(건강보험급여 등)가 증가해 0.4% 늘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등을 중심으로 3.0% 증가했다.

하지만 수출은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2.6% 증가했고, 수입은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0% 늘었다. 이에 따라 순수출(수출-수입)의 성장기여도는 0.8%포인트로 4분기 성장을 가장 많이 끌어올렸다.

반면 태영건설 워크아웃 등 부동산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해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0.7%포인트 깎아내렸다. 4분기 건설투자는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4.2% 감소했다. 3분기 2.1% 성장에서 역성장으로 전환했다. 홍태화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