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개시 D-1…서울시, 시민 궁금증 QNA 공개

서울의 한 버스정류장에 무제한 대중교통권 ‘기후동행카드’가 안내되고 있다. 서울시는 23일부터 기후동행카드 판매를 시작했고 27일 기후동행카드 서비스를 개시한다.[연합]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서울시는 오는 27일 전국 최초로 선보이는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 관련 시민들이 주로 궁금해하는 사항의 답변을 묶어 공개했다.

▶가격? 기후동행카드는 지하철, 버스, 공공자전가 따릉이를 월 6만5000원에 무제한 탈 수 있는 정기 탑승권이다. 따릉이 탑승 기능을 빼면 6만2000원에 살 수 있다.

▶이용 구간은? 기후동행카드 이용 구간은 서울의 지하철, 버스, 마을버스 등이다. 신분당선과 서울이 아닌 시.도의 버스, 광역버스는 이용할 수 없다.

서울이 아니지만 예외적으로 김포골드라인 전 구간, 진접선 전 구간, 5호선 하남구간, 7호선 인천구간 하차는 가능하다.

▶서울 외 지역 하차 가능? 서울에서 탑승 후 서울을 벗어난 역에서 기후동행카드로 하차할 수 없다. 만약 하차해야 할 경우 역무원을 호출해 별도 요금을 추가 납부해야 한다. 또한 기후동행카드 하차 처리가 되지 않아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 이용 가능 구간인지 사전에 확인하는 게 낫다.

▶서울 버스 확인은 어떻게? 서울 버스인지 확인하려면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 노선을 검색해 확인할 수 있다. 또 버스 전면 유리창과 하차문에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안내문을 부착해 현장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동행버스도 이용 가능? 동행버스는 서울 간선버스 요금 적용을 받고 있어 사용 가능하다.

▶모바일카드 발급 방법은? 안드로이드 휴대전화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구글플레이에서 ‘모바일티머니’ 앱을 다운받아 회원가입 후 이용하면 된다.

▶기존 모바일 교통카드와 중복 결제 되나? 사용 전 시스템 충돌 방지를 위해 다른 모바일 교통카드는 해지해야 한다. 모바일 기후동행카드 발급 때 다른 모바일 교통카드 해지 안내가 나오면 ‘해지하기’ 버튼을 눌러 해지하면 된다.

▶실물카드 구입처는?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1호선 서울역~청량리역 구간, 2~8호선 역사에서 현금 3000원에 구매할 수 있다. 9호선 역사 편의점, 신림선, 우이신설선 인근 편의점에서도 판매한다.

▶실물카드 즉시 이용하면 되나? 실물카드는 반드시 등록 후 사용해야 한다. 등록해야 환불이 가능하고 따릉이 사용도 된다.

▶실물카드 충전 방법은? 역사 내 충전단말기에서 현금으로만 충전된다.

▶기후동행카드로 다인승 결제가 되나? 기후동행카드는 1인1매 원칙으로 다인승 결제는 안 된다.

▶무제한 정기권이니 하차할 때 태그 안 해도 되나? 하차할 때 반드시 태그를 해야 한다. 사용 기간 동안 태그를 2회 이상 하지 않으면 2회째 승차시간 기준 24시간 사용이 중지된다.

▶실시간 사용 현황을 알 수 있나? 모바일카드는 앱을 통해 알 수 있다. 실물카드는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릉이 이용 방법은? ‘티머니GO’ 앱을 내려받아 가입 후 자전거 탭에서 따릉이 이용권 구매 버튼을 누른 후 기후동행카드 번호 16자리를 입력하면 된다.

▶따릉이 무제한 이용 가능? 무제한 이용할 수 있으나 1시간 이용권이어서 1시간 이상 이용하려면 반납 후 다시 빌려야 한다. 1시간을 초과하면 따릉이앱에 등록된 신용카드에서 추가 요금이 자동 결제된다.

▶사용잔액 환불은 어떻게 받나? 사용만료일 전 기후동행카드 사용잔액 환불을 원할 경우 환불 가능하며 다음달 이월은 불가하다. 앱으로 환불받을 수 있고 실물카드는 역사 무인충전기에서 사용정지 처리를 하면 된다.

▶실물카드 분실이나 도난당한 경우 환불 방법은? 홈페이지를 통해 입금계좌를 등록하면 된다.

▶카드값 3000원도 환불되나? 카드값은 환불되지 않는다.

▶환불 수수료는? 기본 500원 부과된다.

▶6만2000원권을 6만5000원권으로 바꿀 수 있나? 사용잔액 환불 신청 후 재충전하면 된다.

▶사용 중 장애나 오류가 발생하면? 티머니 고객센터나 120다산콜센터, 가까운 역무실에 문의하면 된다.

▶현금영수증 발급되나? 기후동행카드 충전금 기준으로 현금영수증을 등록할 수 있다. 국세청 홈페이지에 등록한 경우에만 적용된다. 국세청 홈택스에 로그인해 소비자용 현금영수증 전용카드를 신청하면 된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