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정보공개청구 내용 요약하고 처리방향 제시까지

[123RF]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인공지능(AI)가 장문의 정보공개 청구 내용을 짧게 요약하고, 과거 유사 처리 내역도 자동으로 찾아 처리방향을 제시하는 업무지원 모델이 개발돼 행정 현장에 활용된다. 정보공개 민원 응대에 대한 행정 부담을 줄여 민원인에게 더 빠른 응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행정안전부는 날로 증가하는 정보공개 청구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AI기반 정보공개 민원처리 지원모델’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8월부터 약 6개월간 행안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와 서울시 서초구와 양천구, 경기도 여주시가 참여해 이번에 개발된 모델은 기존에 개발된 민간 언어모델(LLM)을 행정에 응용했다.

민원 내용을 3분의 1분량으로 자동 요약함으로써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요약된 내용의 문맥을 토대로 과거 유사 처리 내역도 자동으로 추출해 제공해 준다.

장문의 민원 내용을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담당자가 일일이 검색하지 않아도 자동 추출된 과거 민원처리 내역과 관련 법령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처리시간과 노력도 줄일 수 있다.

또 기존 정보공개 청구 내역도 종합적으로 분석해 주제별로 그룹화함으로써 국민이 자주 찾는 정보공개 청구 분야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활용해 자주 찾는 정보공개 내용은 사전에 정보를 개방해 국민의 정보수요를 충족시키고 행정 내부의 업무처리 부담도 경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된 모델은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에 탑재되며, 이달말부터 모든 행정기관이 활용할 수 있다.

행안부는 사용자들이 손쉽게 모델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매뉴얼과 예제를 제공하고, 별도의 교육용 동영상도 제작해 2월 중 나라배움터에 등재할 예정이다. 또 표준분석모델 콜센터 운영을 통한 일대일 사용법 지원도 시행한다.

행안부는 1월말부터 약 한 달간 시범 운영을 통해 현장 사용자 의견을 수렴하고 모델 보완과정을 거쳐 3월부터 정식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김준희 행안부 공공데이터국장은 “AI와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민원 처리 효율화는 정부의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는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새로운 기술을 접목해 정부 공통 업무분야의 효율성을 높이는 시도를 지속함으로써 정부 경쟁력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