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RF] |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행정안전부는 화재가 급증하는 개인형 이동장치(PM)에 대한 사고 원인과 대책 등이 담긴 ‘잠재 재난위험 요소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기자전거와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이와 관련한 화재 발생 건수는 2017년 7건에서 2022년 138건으로, 5년 만에 20배 가까이 늘었다.
2022년 발생한 전동킥보드 화재 원인의 87.8%는 배터리 문제로 조사됐다.
개인형 이동장치에 내장된 리튬이온 배터리는 과충전이나 물리적 충격 등으로 손상될 경우 발화하거나 폭발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한 높은 열로 인해 주변으로 빠르게 불이 번질 우려가 크다.
특히 다중이용시설처럼 밀폐된 좁은 공간에서 관련 화재가 발생한다면 초동 대응이 어려워 많은 인명피해를 낳을 수 있어 개인형 이동장치의 출입이나 휴대 규정 등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여름철 산불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돌발가뭄에 대한 내용도 담겼다.
고온 건조한 날씨가 장기간 지속되는 돌발가뭄의 연평균 일수는 1990년대 46일, 2000년대 55일, 2010년대 90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제까지 산불 진화와 예방 자원을 집중해왔던 봄·가을철 뿐 아니라 여름철에도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