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파트 입주민들이 설 연휴 기간 동안에는 층간소음에 대해 평소보다 너그러운 편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한 아파트 전경. [헤럴드경제 DB] |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 아파트 입주민들이 설 연휴 기간 동안에는 층간소음에 대해 평소보다 너그러운 편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10일 포커스미디어코리아에 따르면 지난 8일 발표한 ‘포커스미디어 아파트 입주민 트렌드 리포트: 층간소음편’에서 엘리베이터TV가 설치된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 입주민 1128명을 대상으로 ‘설 명절 층간소음’에 대한 생각을 물어본 결과 10명 중 9명(90%)이 ‘평소보다 더 이해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다만 자녀 유무에 따라 결과에서 차이가 났다. 무자녀 세대의 96%가 명절 층간소음을 이해한다고 답했지만, 유자녀 세대는 86%를 기록했다.
포커스미디어코리아는 “유자녀 세대의 이해율도 상당히 높지만, 무자녀 세대가 더 높았다는 점이 흥미롭다”며 “명절을 맞아 평소 조용했던 이웃집으로 아이들이 놀러 와 뛰어놀다 보니 어린 자녀가 있는 세대에는 층간소음이 더 신경 쓰이는 것으로도 보인다”고 했다.
한편 아파트 입주민 2명 중 1명(47%)은 현재 층간소음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가장 많은 층간소음 유형은 쿵쿵대는 발소리(71%, 복수 응답)였고, 이어 가구 옮기는 소리(41%), 욕실에서 물 내리는 소리(34%), 대화 및 전화벨 소리(32%), 청소기 돌리는 소리(29%) 순이었다.
층간소음 예방 및 해결 방법으로는 그냥 참는다(54.2%, 복수 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층간소음 방지 실내화 착용(30.4%)이었다. 관리사무소에 민원 전달, 쪽지남기기, 매트 깔기 등도 있었다.
층간소음 피해를 본 입주자 등은 중앙공동주택관리지원센터 또는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를 통해 층간소음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또 공동주택관리 분쟁조정위원회나 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