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남호(왼쪽 두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이 1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OECD 회의실에서 열린 ‘무탄소에너지(CFE) 원탁회의’에 인사말을 하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우리나라가 국제에너지기구(IEA) 50주년 기념 각료회의에서 ‘무탄소 에너지(CFE) 이니셔티브’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인증체계 마련을 제안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 있는 IEA 본부에서 ‘무탄소 연합(CF 연합)’주관으로 원탁회의를 열어 CFE 이니셔티브의 목적과 향후 추진 방향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CFE 이니셔티브는 2050년 탄소 중립(온실가스 순 배출량 0)을 달성하는 방법의 하나로로, 재생에너지 외에 원전과 청정수소 등 무탄소 에너지를 폭넓게 활용하자는 제안이다.
그동안 전력 분야의 무탄소 전환을 중점적으로 논의한 데서 한발 더 나아가 산업 분야의 무탄소를 달성하자는 게 CFE 이니셔티브의 핵심이다.
지난해 9월 윤석열 대통령이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국제사회에 제안했으며, 이후 민간 주도로 CF 연합이 결성돼 적극적으로 이니셔티브 홍보에 나서고 있다. 이날 원탁회의에는 일본과 영국, 캐나다 등 7개국과 IEA 관계자가 참석해 CFE 이니셔티브의 취지에 공감했다.
이회성 CFE 특임대사 겸 CF 연합 회장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무탄소에너지 활용에 대한 국제적인 민관협력을 강화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회의에 참석한 국가들에 CFE에 대한 국제적 인증제도 구축 필요성을 설명했고, 이를 위해 국가 간 실무 그룹을 만들자고 제안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를 주최한 최남호 산업부 2차관도 “우리나라는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이니 탄소배출이 많은 업종별로 탄소 감축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정부에서 공식 연구개발 프로그램도 발족시켰고, 기후 기금도 만들어 관련 지원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각국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이미 다양한 무탄소에너지를 활용해 탄소중립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움직임을 가속하기 위해서는 기업 등의 자발적인 무탄소에너지 전환 노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참여국들은 우리나라의 무탄소에너지 활용에 대한 국제적 인증체계인 CFE 프로그램 구축에 대한 제안을 지지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또 참여국들은 관련 논의를 위한 글로벌 작업반 구성 등 추가적인 협의를 진행키로 했다.
산업부는 주요국과 협의가 이뤄지면 글로벌 작업반을 출범, 국제사회와 함께 민간의 무탄소에너지 활용에 대한 인증체계 구축을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