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실적이지만”…성과급 둘러싼 현대차그룹 내 복잡한 속사정, 무슨일이? [난 누구, 여긴 어디]

〈난 누구, 여긴 어디〉

일하는 곳은 달라도 누구나 겪어봤고 들어봤던 당신과 동료들의 이야기. 현재를 살아가는 기업인, 직장인들의 희로애락을 다룹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습니다.

현대차 아이오닉5 생산라인 [현대차 제공]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 설 연휴가 끝나고 현대자동차·기아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특별성과급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습니다. 양사는 지난해 합산 26조원이 넘는 역대급 영업이익을 달성했는데 노조에서는 “이에 걸맞은 보상을 달라”며 투쟁 수위를 높이는 모습입니다.

13일 전국금속노동조합 기아자동차지부 등에 따르면 기아 노조는 이날부터 서울 서초구 양재동 현대차 기아 본사 사옥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 투쟁에 나설 계획입니다.

하임봉 지부장은 지난 7일 사측에 지난해 성과에 대한 공정한 분배를 요구한다는 공문을 보낸 데 이어, “본격적인 투쟁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노조 측은 “3만 조합원과 노조의 요구에 대한 사측의 전향적인 태도가 없을 시 양재동 1인 시위를 포함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겠다”며 엄포를 놨습니다.

아울러 노조에서는 역대 최대 수준의 배당금에 대해서도 ‘돈 잔치’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기아는 2022년 3500원이던 주주 배당금을 지난해 5600원으로 60% 인상했습니다.

현대차·기아 서울 서초구 양재동 본사. [현대차 제공]

현대차 노조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지난달 12일 공식 출범한 현대차 새 집행부는 출범 직후 공식적으로 특별성과급을 요구하는 소식지를 발행한 바 있습니다.

노조는 “역대 최대 실적에 걸맞은 공정분배, 조합원 피땀의 결과에 걸맞은 분배를 요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사측이 일방적으로 책정하고, 노조에 통보하는 과거 지급 방식을 거부하겠다”는 주장도 했습니다.

특별성과급은 노사가 임금 및 단체협약으로 정하는 일반성과급과 달리 경영진의 재량으로 지급합니다. 회사는 지난 2022년 성과주의 문화 정착을 위해 처음 특별성과급을 도입했습니다.

2022년에는 격려금 명목으로 정규직 직원 1인당 400만원을, 지난해에는 600만원 규모의 특별성과급(현금 400만원 및 주식)을 제공했습니다.

현대차·기아 노조는 지난해 양사가 모두 역대급 영업이익을 달성한 만큼, 지난해를 뛰어넘는 특별성과급을 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지난해 매출액 162조6636억원, 영업이익 15조1269억원을, 기아는 매출액 99조8084억원, 영업이익 11조6079조원을 기록했습니다.

이와관련, 회사 측에서 공식적인 답변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특별성과급은 말 그대로 별개의 보상인데, 이 요구가 연례행사가 되는 것이 부담일 수 있다”고 귀띔했습니다.

투쟁 중인 현대제철 노조. [현대제철 노조 제공]

또한 지난해 일어난 타 계열사들의 투쟁이 재현될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현대모비스 노조는 작년 현대차·기아보다 성과급 규모가 적다는 이유로 본사 로비를 점거했고, 현대제철 역시 사장실을 점거하며 특별성과급 지급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업계에서는 올해도 특별성과급에 대한 요구가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현대트랜시스, 현대글로비스, 현대제철 등 그룹 계열사 전반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현대제철의 경우 아직까지 2023년 임금협상을 마무리 짓지 못하고 노사가 대치 중인 상황입니다. 특별성과급 등이 미칠 향후 파급효과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분위기인 것이죠.

재계 일각에서는 현대차·기아가 주력하는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는 만큼 포상보다는 투자와 위기 대응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전기차 시장은 2022년 대비 33.4% 성장하는 데 그쳤습니다. 2021년에서 2022년 시장이 56.9% 성장한 것과 비교하면 성장세가 한풀 꺾였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또 한편으로는 성과급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경제계 고위 관계자는 “보상 없는 성과주의나 퍼주기식 성과급 둘 다 회사를 병들게 하는 원인이 되는 만큼 구성원들이 납득할 만한 명확한 성과급 지급 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