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식품 생산물가 13.9% 폭등

지난해 12월 신선식품 생산자물가가 전달 대비 13.9%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총지수가 0.1% 늘어났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거센 상승세다.

안정세를 보이는 전체 물가 지표와 다르게 먹거리 물가 만큼은 잡힐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식선식품 등 주요 식자재 가격 상승은 시차를 두고 외식 물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전반적인 밥상 물가가 잡히지 않으면서 내수 침체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도 커졌다.

이에 정부는 먹거리 가격 안정을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2~3월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을 위해 300억원을 즉시 투입하는 것이 골자다. 할당관세 물량 신속 도입과 추가 비축 등에도 나선다.

15일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생산자물가지수(특수분류)에 따르면 신선식품 생산자물가는 지난해 12월 4개월만에 상승 전환했다. 신선식품 생산자물가 전달비는 지난해 8월 14.6%를 기록한 뒤, 9월(-2.9%), 10월(-9.8%), 11월(-3.7%)를 기록하다 12월(13.9%) 급등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도 17.3%가 올랐다.

특히 채소류 물가가 거센 오름세를 보였다. 12월 채소 생산자물가는 전월 대비 18.8% 급등했다. 과실(9.7%)과 농산물(9.3%)도 많이 올랐다. 특히, 딸기는 154.1% 폭등했다.

먹거리 물가는 유독 지난해 말부터 급격한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12월 생산자물가 총지수는 0.1% 상승했다. 10월(-0.1%)과 11월(-0.4%) 2개월 연속 내리다가, 석 달 만에 반등했다. 전반적으로 물가가 내려가는 상황이었지만, 결국 먹거리 가격 상승세가 물가 안정을 막았다.

식자재 생산자 물가가 잡히지 않으면 결국 소비자 물가에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미 1월 소비자물가에서 기미가 보인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월 식료품 물가는 1년 전보다 6.0%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 폭(2.8%)의 두 배를 웃돈다. 식료품 물가 상승세는 넉 달째 6%대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달(3.2%)보다 0.4%포인트 하락했지만, 식료품 물가는 불과 0.1%포인트 떨어졌다.

식료품 물가는 사과·배 등 과일이 견인하고 있다. 신선 과실은 28.5% 올라 2011년 1월(31.9%)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선 채소 와 신선 어개도 각각 8.9%, 2.0% 올랐다. 특히, 1월 소비자물가에서 과실 기여도는 0.4%포인트로, 2011년 1월(0.4%포인트) 이후 13년 만의 최대치다.

식료품 물가가 떨어지지 않으면 외식 물가 둔화세도 늦춰질 수밖에 없다. 외식의 원자재 가격이 오르는 셈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1월 외식 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4.3% 상승해 0.6%포인트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밥상 물가가 잡히지 않으면 서민층을 중심으로 어려움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외식이 줄면서 내수에도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도 지난해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 관련 설명회에서 “고금리, 고물가 영향이 내수 부진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수 부진이 경제성장의 주요 하방 요인으로, 수출 개선이 상방 요인으로 각각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에 먹거리 가격 안정을 위한 재원을 즉각 투입키로 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3월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에 약 300억원을 투입해 과일·오징어 등 수급 불안 품목을 대상으로 최대 40~50% 할인을 이어간다.

할당관세 물량인 대파 2000t은 내달까지, 수입과일 30만톤은 상반기까지 신속 도입하고 배추·무는 8000t을 추가 비축해 3~4월 수급 불안에 대응한다. 올해 상반기에는 수산물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도 전국 68개 전통시장에서 매월 개최한다.

양영경·홍태화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