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이 지난 7일 서울 중구 한국장학재단 서울사무소에서 헤럴드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박혜원 기자 |
우리 사회 인재 무게 추가 기울고 있다. 어느샌가 이공계는 ‘기피’의 대상이, 의약학계는 10년을 걸려서라도 가야만 하는 ‘선망’의 대상이 됐다. 의대 2000명 증원도 단기적으론 이 현상에 기름을 부었다.
직업 선택의 자유는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다. 그러나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을 가로막는 사회적 압력 역시 분명히 존재한다. 초등학생부터 반도체 대기업 직원까지 입시 학원 문을 두드리게 만드는 한국은 지금 ‘의사’ 권하는 사회다.
“한국으로는 절대 돌아가지 않겠다.” 국내 대학 이공계 학과 졸업 후 해외 IT 기업으로 떠난 한 청년의 말이다. 의대 열풍 이면, 이공계 인재들을 떠나도록 만든 현실을 들여다봤다.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이공계 인재 양성도 필요하지만, 사회에서 이들이 제대로 평가받도록 범부처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 이공계 인재들에 대한 대우가 없으면 의대 입학정원 증원 등 수요와 공급에 기댈 수밖에 없습니다.”
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지난 7일 서울 중구 한국장학재단 서울사무소에서 헤럴드경제와 만나 최근 심화한 이공계 인재 이탈 현상과 관련, 이같이 말했다.
보건복지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입학정원 2000명을 늘리겠다고 밝힌 직후 ‘의대 열풍’은 더욱 커진 상황이다. 상위권 학생들 사이에선 이공계열 직종 대비 보수가 압도적으로 높은 의사 직종을 선호해 이공계를 떠나는 움직임이 커졌다. 올해 삼성전자 계약학과인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에 정시 최초합격하고도 정원 92%가 등록조차 하지 않은 것이 단적인 사례다.
이와 관련 심 기획관은 이공계 인재들에 대한 처우 강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심 기획관은 “이공계 분야보다 의대에 진학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나 안정성이 높은 게 사실”이라며 “이공계 인재들이 사회에 진출했을 때 그만큼 사회적으로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다면 열심히 공부해서 자연과학대나 공과대학에 가서 열심히 공부할 필요도 없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심 기획관은 “우수 인재들을 해외에도 빼앗기지 않도록 인센티브와 연봉, 대우를 보완하지 않으면 아무리 정부에서 인력을 키워도 밖으로 나갈 수밖에 없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부 등 범부처적인 협력으로 지원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와 기업 차원의 처우 개선과 함께, 개개인의 진로적성에 대한 대학들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특히 최근에는 일찍이 이공계로 진로를 택했던 영재학교 등 고등학교 학생들도 의대 입시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공계열 학과 진학 후 뒤늦게 의대에 가는 영재들도 적지 않다.
이와 관련 심 기획관은 “(영재들이) 실패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살아오다, 대학에서 프로젝트나 논문작성 등을 하며 실패에 부딪혀 방황하다 현실에 눈이 돌아가고, 그러다보니 의대에 가는 루트”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과거에는 교수들이 직접 아이들을 책임지고 상담과 생활지도도 했는데 요즘엔 그렇지 못한다”며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이 어떤 식으로 전공을 계속 가져갈 수 있는지에 대한 컨설팅 시스템을 갖추는 게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공계 인재 양성과 별개로, 의대 입시를 둘러싼 열풍은 단기적 현상에 그칠 거라는 것이 심 기획관 진단이다. 정부가 올해 기준 의대 입학 정원 3038명의 65%에 달하는 2000명을 추가로 늘리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일각에선 대학들의 교육 여건 대비 과도한 인원을 투입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심 기획관은 이와 관련 “(의대 정원 배분 대상) 대학들의 실습실, 기자재 등 상황을 봤을 때 이 정도면 증원해도 된다는 데이터와 대학 측 요구를 따져 큰 문제가 없겠다고 본 규모”라며 “너무 적은 것보다는 많은 것이 (의사 부족 문제 해결에 대한) 시그널 자체로서는 안정감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오는 4월 중하순까지는 대학별 정원을 통보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사교육 과열 우려에 대해서는 “(적은 규모로 증원한다면) 바늘 구멍에 들어가기 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며 “일시적으로 의대 진학 수요가 증가할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의료 인력이 증가하면서 이런 이야기도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공계 연구 현장에선 연구개발(R&D) 감액에 따른 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교육부는 올해 청년 연구 관련 예산을 늘려 지원을 강화했다는 입장이다. 올해 R&D 예산이 전년 대비 15%가량 줄어든 가운데, 젊은 과학자 연구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2917억원 늘어난 5349억원을 투입한다. 올해 기초연구사업 예산 역시 2조6326억원으로 전년 대비 500억원 늘었다.
다만 연구 현장에선 기존에 지속해오던 연구비 관련 예산이 줄어 연구 중단 등 혼란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심 기획관은 “작년 예산은 깎인 것이 맞다”면서도 “새로운 사업들이 교육부와 과기부에 늘었으므로 (연구 현장에서) 새로운 연구를 응모하면 된다”고 답했다.
아울러 심 기획관은 이공계 인재 양성 및 의대 정원 확대를 통해 ‘의대 쏠림’ 현상이 점차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심 기획관은 “장기적으로 의료인이 늘어나고 첨단산업 등 다른 분야에 대한 사회적 평가가 높아지고,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뤄진다면 인재수급의 미스매치도 완화될 것”이라며 “이공계 대학이나 연구소를 이끌어갈 수 있는 석·박사생, 후속 세대를 위한 지원을 전년 대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