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석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이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3년 4/4분기 가계신용(잠정)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가계신용 잔액이 3개월만에 8조원 가량 늘어나면서 또 다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한국은행은 20일 2023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에서 4분기말 가계신용 잔액이 1886조4000억원을 기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가계대출 잔액은 1768조3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6조5000억원 증가했다. 판매신용 잔액은 118조1000억원으로 1조5000억원 늘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빚(부채)’을 말한다.
가계신용은 금리 인상 등 통화 긴축의 영향으로 작년 4분기(-3조6000억원)와 올해 1분기(-14조4000억원) 잇따라 뒷걸음쳤지만, 세 분기 만인 2분기(+8조2000억원) 반등한 뒤 3분기, 4분기 연달아 새로운 정점을 찍었다.
특히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064조3000억원)이 15조2000억원 급증하며 직전 분기에 이어 최대 잔액 기록을 또 경신했다. 증가 폭은 3분기(+17조3000억원)를 밑돌았지만 2분기(+14조1000억원)보다는 컸다.
서정석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이와 관련 "서울 입주 물량이 4분기에 몰렸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작년 연간 가계대출 증가 폭(+18조4000억원)은 전반적 주택 거래 부진 등의 영향으로 2022년(-7조원)을 제외하면 2003년 통계작성 이래 가장 작았다"고 설명했다.
전반적인 가계 빚이 늘어난 것은 맞지만, 증가 속도는 일부 둔화했다. 3분기엔 14조4000억원이 늘었는데, 4분기엔 6조5000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기관 별로 살펴보면 예금은행은 주택담보대출이 늘고 기타대출 감소규모는 소폭 축소됐다. 증가폭은 이에 10조원에서 11조4000억원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기타금융기관는 주택담보대출이 줄고 기타대출이 감소 전환하면서 증가폭이 9조2000억원에서 1조원으로 축소됐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주택담보대출이 증가 전환하였으나 기타대출 감소규모가 커지면서 감소폭이 -4조8000억원에서 -5조8000억원으로 확대됐다.
판매신용도 증감규모가 지난해 3분기 2조7000억원에서 4분기 1조5000억원으로 축소됐다. 증가세는 대부분 여신전문회사가 이끌었다.
서 팀장은 "작년 4분기 가계대출이 6조5000억원 늘었지만 증가 폭은 3분기 14조4000억원보다 줄었다"며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 모기지(담보대출) 공급 속도 조절과 50년 만기 대출 상품 판매 제한 등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신생아 특례대출과 관련해서는 "지난달 29일 시행된 뒤 현재까지 상황을 보자면, 대환(갈아타기) 용도가 대부분이라 특례보금자리론과 비교해 가계대출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작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