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안동)=김병진 기자]경북도는 대형 병원 전공의 집단 사직서 제출과 병원 근무 중단이 임박해짐에 따라 도민의 의료 이용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19일부터 비상진료대책본부를 확대 운영한다.
도는 의료계 집단행동 대응으로 지난 7일부터 비상 진료체계를 유지하며 도 및 22개 시군에서 비상 진료 대책 상황실을 운영해 왔으나 19일부터는 행정부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진료대책본부를 확대 운영해 의료공백 최소화 하기로 했다.
또 시군 비상진료대책반에서는 관내 의료기관의 비상진료체계 유지 여부 및 필수 의료 운영 여부를 철저히 점검해 상황을 공유하고,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하고 원활한 환자이송·전원을 위해 긴밀히 협조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내 30개 응급의료기관에서는 24시간 응급실 운영을 유지하고, 전문의 당직근무 명령과 함께 환자 쏠림에 대비해 중증 응급 수술 관련 비상근무조를 별도 편성 운영할 예정이다.
공공의료기관과 보건의료기관에서는 평일 2시간 연장근무 및 토요일 정상근무 실시로 의료공백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집단행동 기간에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은 응급의료정보시스템(E-Gen)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도민의 생명과 건강이 위협받는 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의료진들은 의료현장을 지켜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