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신탁사들이 부동산 경기 한파 장기화로 실적과 신용도 위기에 놓였다. 특히 책임준공형 토지신탁 사업 부실로 인해 신용도 훼손과 자금 조달력 저하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2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부동산신탁사 14곳의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 총합은 2491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연간 당기순이익 총합(6426억원)보다 61.2% 급감했다.
KB부동산신탁과 교보자산신탁은 지난해 연간 각각 841억원, 295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양사는 2022년 각각 677억원, 30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이밖에 ▷무궁화신탁(-89.3%) ▷코람코자산신탁(-89.1%) ▷대한토지신탁(-55.4%) ▷코리아신탁(-47.0%) ▷우리자산신탁(-46.6%) 등 9개사의 작년 연간 당기순이익도 직전년 대비 급감했다.
14개사 중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보다 늘어난 곳은 대신자산신탁, 한국투자부동산신탁, 한국자산신탁 3곳에 불과했다.
업계는 그동안 신탁사 수익성 제고에 기여했던 책임준공 관리형 신탁 방식의 사업이 부실해지면서 관련 대출채권 손실이 대거 반영된 영향으로 보고 있다.
신탁사의 사업 형태는 통상 신탁사가 사업비를 직접 조달해 건물을 짓는 ‘차입형 토지신탁’과 신탁사가 자금 차입에 대한 책임은 부담하지 않고 명목적인 사업시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관리형 토지신탁’으로 구분된다.
이중 관리형 토지신탁은 대부분 신탁사가 대주단에 천재지변이나 전쟁 등 불가항력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약정된 기한 내 공사 완료·사용 승인·준공 인가를 받겠다고 약정하는 책임준공확약을 제공하는 ‘책임준공형 관리형 토지신탁’이다.
통상 책임준공형 관리형 토지신탁 사업은 담보력이 낮은 오피스텔 등 비(非) 아파트의 비중이 크고, 자체 신용도가 낮은 지역 중소건설사가 시공사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의 금융사들이 대주단을 구성해 신탁사의 신용을 담보로 시행 주체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신탁사의 실적 저하는 신용등급 강등과 그에 따른 자본 조달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 유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