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카이스트와 ‘공동연구실’…자율주행차 고도화 ‘온칩 센서’ 만든다

이종수(왼쪽) 현대차 선행기술원장 부사장과 이상엽 카이스트 연구부총장이 21일 카이스트 대전 본원에서 열린 공동연구실 현판 전달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카이스트와 손잡고 차세대 자율주행 센서 개발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현대차·기아와 카이스트는 고도화 자율주행차에 쓰일 라이다 센서를 개발하기 위해 ‘현대차그룹-KAIST 온칩 라이다(On-Chip LiDAR) 공동연구실’을 대전 카이스트 본원에 설립하기로 하고 이날 현장에서 협약식을 맺었다. 라이다 센서는 사물의 모양과 거리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자율주행에 핵심 역할을 하는 센서다.

공동연구실은 고성능·소형 온칩 센서 제작 기술과 새로운 방식의 신호 검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온칩 센서는 반도체 기술을 이용해 기존 센서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이 기술을 활용한다면 라이다를 현재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대량 생산으로 가격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자율주행 센서가 빛을 방출하고 돌아오는 시간으로 사물과의 거리를 측정했다면, 차세대 신호 검출 기술인 ‘주파수 변조 연속파(FMCW)’를 활용하면 거리 검출 방식의 혁신이 가능해진다.

공동연구실은 현대차·기아 선행기술원 연구팀과 카이스트 교수 전기·전자공학부 연구팀 30여명 규모로 구성될 예정이다. 2028년까지 4년간 운영된다. 김지윤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