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경남, 차세대 원전 ‘SMR 클러스터’로 키운다 [尹, 14번째 민생토론회]

정부가 창원·경남을 반도체의 삼성전자·하이닉스와 같은 파운드리가 집적한 소형모듈원전(SMR) 클러스터로 육성한다. 창원은 1982년 한국중공업(현 두산에너빌리티)이 창원종합기계단지로 입주한 이후 국내 최초 원전 주기기 국산화가 이뤄진 곳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이라는 주제로 14번째 민생토론회를 창원 경남도청에서 진행한 이유는 원자력산업에서 창원이 갖는 의미가 각별하기 때문이다.

토론회에서는 ‘글로벌 SMR 클러스터로 도약하는 창원의 미래’가 논의됐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SMR 선도국 도약을 위한 ▷독자기술개발 ▷선제적인 사업화 추진 ▷국내 파운드리(제작) 역량 강화 등 세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SMR은 기존 대형원전보다 발전 용량과 크기를 줄인 300MW(메가와트)급 이하 원전을 지칭한다. 모듈형으로 설계돼 건설이 쉽고, 대형원전 대비 절반 이하의 부지에도 건설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안전성과 경제성, 유연성 측면에서 모두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력 생산뿐 아니라 수소 생산, 지역 난방, 신재생에너지 보완 등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에너지 업계에서는 2035년 SMR 시장 규모가 650조원에 이르고, 2050년엔 신규 원전의 50%가 SMR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러시아 등은 SMR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해 공격적인 투자를 해왔다. 현재 미국과 EU를 중심으로 70여 개 기업이 SMR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세계 각국 정부의 지원도 활발하다. 미국은 원자력을 클린 에너지로 지정하고 부지 무상 제공과 각종 세금 혜택, 기술 개발 지원 등에 10조원 이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EU는 그린 택소노미(친환경 분류체계)에 원자력을 포함하면서 신재생에너지 수준의 정책 및 금융 지원을 하고 있다. 중국은 2010년대 들어 SMR 개발에 나섰고, 2021년부터는 ‘국가 5개년 개발 계획’에 따라 SMR 산업을 지원하고 있다.

우선, 정부는 향후 세계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한국형 소형모듈원전(i-SMR)의 개발을 가속화 하기 위해 전년 대비 9배의 예산을 증액키로 했다.

또 i-SMR을 포함한 다양한 노형(원자로 타입)의 국내·외 사업화(사업개발, 마케팅, 건설 등)는 다양한 민간기업들이 참여해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사업체계와 전략을 올해안으로 마련해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또 지난해 출범한 민·관합동 SMR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한 산업계 차원의 SMR 활용 사업모델 구상도 구체화 될 예정이다.

아울러 모듈형 제작·설치가 가능한 SMR의 확산에 따라 ‘공장에서 원전을 만들어 수출하는 시대’가 열릴 것에 대비, 우수한 국내 원전 제작역량을 활용해 SMR 위탁 생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금년부터 개시된 SMR 혁신 제작기술 및 공정 R&D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한편 지역기업들의 SMR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도 제공한다. SMR 설계·제작·사업개발 분야 기업들에 전문으로 투자하는 정책 펀드 신설·운영도 추진해, 국내 SMR 산업 활성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창원과 경남이 지역 내 우수 원전 기자재 업체들의 역량을 살려 반도체의 삼성전자·하이닉스와 같은 파운드리가 집적한 글로벌 ‘SMR 클러스터’로 도약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창원·경남의 원전기업들이 해외 SMR 설계기업 원자로 생산에 참여하는 등 관련 공급망에 진출해 있는 만큼, 이를 더욱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앞으로도 관련 R&D와 투자혜택, 글로벌 기업과의 파트너링 등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배문숙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