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2월 말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이 0.38%로 잠정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전월 말 대비 0.08%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신규연체 발생액이 2조2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5000억원 감소한 반면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4조1000억원으로 2조1000억원 증가했기 때문이다.
은행들이 통상 분기 말에 연채채권 상·매각 등을 통한 관리를 강화하면서 연체율이 전월 말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금감원은 분석했다.
12월 중 신규 연체율은 0.10%로, 전월 대비 0.02%포인트 내렸다. 이로써 12월 연체율과 신규 연체율 모두 3개월 만에 전월 대비 하락세로 전환했다.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추이 [금융감독원 자료] |
12월 말 연체율을 부문별로 보면, 기업대출은 0.41%로 전월보다 0.11%포인트 하락했다. 중소법인 연체율 하락 폭이 0.13%포인트로 가장 컸고, 개인사업자대출(-0.08%포인트), 대기업대출(-0.06%포인트) 순이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 대비 0.04%포인트 내린 0.35%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02%포인트 하락한 0.23%였고, 신용대출 등 기타 가계대출 연체율은 0.66%로 0.10%포인트 떨어졌다.
금감원은 “신규 연체율이 전년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향후 연체율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연체·부실채권 정리를 확대하고 충분한 대손충당금 적립을 유도해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