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재난 최상위단계 격상

의사단체의 집단행동에 의료공백이 커지면서 정부가 23일 보건의료재난 위기 경보를 최상위인 ‘심각’으로 끌어 올렸다. 코로나19 감염병 대유행 시기에도 ‘심각’이 발령된 적은 있지만, 보건의료와 관련해 ‘심각’까지 올라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또 공공 의료기관 진료 시간을 전면 확대해 최대치로 운영키로 하는 한편, 이날부터 비대면 진료도 전면 확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2면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 회의를 열고 “오늘(23일) 8시부로 보건의료재난 경보단계를 위기 최고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고 국무총리 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해 범정부 총력 대응 체계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특히 “모든 공공 의료기관의 평일 진료 시간을 가능한 최대로 연장하고, 주말과 휴일 진료도 확대해 공공의료기관 가동 수준을 최대치로 올리겠다”고 말했다.

이어 “중증·위급환자의 이송과 전원을 컨트롤하는 광역응급상황실을 내달 초 4개 권역에 신규로 개소하겠다”고 밝혔다. 광역응급상황실 4곳을 추가로 열어 응급환자가 ‘골든타임’ 안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취지다.

병원에서 임시·의료 인력을 추가 채용할 수 있도록 중증·응급 환자 최종 치료 수가는 2배로 늘린다. 이와 함께 의료 인력 관련 규제를 풀어 부족한 인력 수요를 채운다.

한 총리는 “병원에 남아 환자를 지키고 계신 의사, 간호사, 병원 관계자 여러분들의 부담을 줄여드려야 한다”며 “관련 규제를 완화하여 병원 인력의 탄력적 운영이 가능해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중증·응급 수술 등 필수 치료가 지연되는 병원의 인력 수요를 파악 중이며, 이곳에 공보의와 군의관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한 총리는 의료계를 향해 “부디 잘못된 선택으로 오랫동안 흘려온 땀의 결과가 한순간에 사라지지 않기를, 또 그런 위험 속으로 젊은 의사들을 등 떠밀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배문숙·김용훈·박혜원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