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와 김종인 공천관리위원장이 2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박상현 기자] 개혁신당의 공천관리위원장으로 새로 선임된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6일 “기본적으로 하자가 없는 사람을 갖다가 공천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밝혔다.
김 공관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공천 작업 자체는 별로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현재 진행 중인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공천에 대해선 “양당의 공천 결과에 대해서는 제3자가 얘기하는 게 실례”라며 “당 사정에 따라서 공천을 추진해 왔기 때문에, 3자가 평가할 필요는 없고 결국은 유권자가 판단해 줄 테니까 총선 때까지 기다려 보는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또 현재 저조한 개혁신당의 지지율과 관련해선 “지금 여론조사 상에 나타나고 있는 지지율에 대해서 너무 집착할 필요는 없지 않나 이렇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개혁신당이 앞으로 무엇을 추구하는 정당이라는 것을 국민에게 각인을 시켜서 국민이 그것을 수용을 해 주면 성공을 할 것이고 국민이 수용을 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가 없는 것”이라며 “과거에도 내가 다른 기존 거대 정당의 비대위원장도 해 보고 하면서 선거도 여러 번 겪어봤지만 꼭 지금 나타나고 있는 여론조사가 선거와 일치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김 위원장은 4·10 총선 목표 의석수에 대해선 “최소한도 교섭단체 정도는 만들 수 있는 의석이 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답했다.
김 위원장은 ‘경제 개혁 키워드’를 묻는 질문엔 “양극화 해소”라며 “예를 들어서 기초생활 수급자들이 한 240만명 가까이 된다. 이 사람들의 소위 인권과 이 사람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서 무엇을 할 것이냐 하는 것들을 제시를 해 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기초생활 수급자의 고독사 문제’ 등 복지 사각지대를 언급하며 “그러한 문제를 갖다가 해결하지 않고서 과연 대한민국 사회라는 것이 통합이 가능하겠느냐”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또 “지금 우리나라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있어 격차도 너무나 엄청나게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중소기업이 중장기적으로 제대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어떠한 제도가 필요한 것인지 이러한 것들을 국민들에게 제시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