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서울 양재동 사옥. [현대차 제공] |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내달 1일부터 ‘특근 거부’라는 카드를 꺼내든다. 올해부터 특별성과급을 지급하지 않고 단체교섭에서 합리적 보상안을 논의하겠다는 사측 입장에 반발하며 내세운 조치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최근 특별성과급 관련 투쟁 지침을 세웠다. 이날 회사에 ‘특별성과급 지급 재요청 건’이라는 제목의 항의 공문을 발송한 데 이어, 노조 임원을 중심으로 항의 집회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오는 27일에는 기아 노조와 만나 공동 대응을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내달 1일 및 9일로 예정된 특근을 모두 거부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후 기아 노조와 일정을 조율해 양재동 본사에서 항의 집회를 준비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기아 노조 역시 오는 29일 양재동 기아 본사 앞 대로변에서 간부들을 중심으로 특별성과급 쟁취를 위한 항의 집회를 별도로 실시한다.
현대차·기아 노조가 요구하는 특별성과급은 별도의 포상으로, 노사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에 따라 지급하는 성과급과는 성격이 다르다.
특별성과급은 임단협에 따라 정해지는 일반성과급과 달리 경영진이 재량으로 지급 여부를 결정한다. 2022년과 지난해 기아와 현대차는 특별성과급을 지급한 바 있다.
현대차·기아 노조는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낸 데 따라서 이번에도 특별성과급 지급을 요구하고 있으나, 사측은 올해는 이를 지급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측은 올해 특별성과급을 지급하지 않기로 하면서 ‘혼란 가중’과 ‘취지 퇴색’을 이유로 들었다. 양사는 노조에 보낸 공문에서 “지난 2년간 성과급 지급 후 발생한 일을 보면 우리 내부는 물론 회사를 둘러싼 대외적인 이슈와 논란이 가중됐다”며 “‘의미 있는 성과에 따른 보상’이라는 성과급의 본래 취지가 퇴색됐다”고 설명했다.
또 “전반적인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으로 연초 특별격려급 지급 시 비판적 국민 정서가 확대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신 “2024년 단체교섭에서 합리적인 보상이 될 수 있도록 노사 간 논의를 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노조 측은 이에 대해 “현대차 최대 실적을 위해 노력한 조합원을 비롯해 비정규직 노동자, 부품사, 협력사 노동자들의 노고를 부정하며, 지난해 경영 실적에 따른 공정한 분배를 거부했다”고 반발하고 있다.
한편 지난해 양사의 합산 영업이익은 26조7348억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전년도 합산 영업이익(17조529억원)보다 약 10조원 더 많은 수준이다.